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4-정치경제-5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구범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1-01 ~ 1994-12-15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8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정치학계에서 선진자본주의 국가에 관한 연구와 한국 국가 및 시민사회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함.
연구 배경 자본주의 국가들의 경제 침체를 다룬 좌파이론들이 쇠퇴하고, 왜 신보수주의의 국가이론과 조절이론적 국가이론이 등장했는가의 배경을 살피고, 한국에서도 좌파 패러다임의 국가 연구가 쇠퇴하고 시민 사회 연구가 왜, 어떤 내용으로 등장했는가를 연구하고자 함.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방법인데 선진자본주의의 국가에 관한 최근 연구 문헌들과 한국의 시민사회에 관한 것은 국내 연구업적들을 분석하고자 함.
연구 내용 신보수주의의 국가에 대한 연구를 사회민주주의의 위기, 신보수주의의 국가, 조절이론적 국가로 나누어 분석하고, 한국 국가와 시민사회에 관한 연구 경향을 민주화와 국가, 최근의 정치경제학적 연구와 국가, 시민사회론의 태두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먼저 한국에서의 국가연구의 쟁점 변화를 시기별로 분석했고, 둘째,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복지국가의 위기를 맞아 신보수주의와 포스트·포디즘 등이 등장한 것을 분석했고, 셋째, 한국 국가연구의 최근 경향을 좌파 이론 대신 국가와 시민 사회에 관한 활발한 연구와 정치경제론적 접근 및 신제도론적 접근에 찾았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