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4-정치경제-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안택원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1-01 ~ 1994-12-15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과학 기술, 정보, 통신 혁명 시대에 있어서 국제 정치 상에 나타나는 새로운 조류와 함께 기존 정치이론에서의 시간(time)과 공간(space) 개념이 재정의되고 있다. 정치이론에서 핵심 개념 가운데 하나인 시·공간개념이 변화하는 새 지구촌 추세에 비추어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지 깊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연구 내용 기존 정치이론에서의 시간과 공간 개념의 한계를 지적한 뒤 현대 국제 정치의 지평에 나타나는 신조류와 시·공간 개념의 새로운 해석을 검토함.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전통적 시·공간 개념은 계몽주의적 이성과 유토피아의 산물로서 폐쇄적, 구획적, 위계적, 배타적 성격을 지님. - 이러한 성격은 중심/주변, 주관/객관, 이성/감성 등 국제 정치에 나타나는 이중적 분열적 담론구조에 의해 잘 나타남. - 그러나 과학기술혁명, 상호의존의 21세기 국제정치에 있어서 시·공간은 수평적, 개방적, 상호 소통적 성격으로 변화함. |
||
참고문헌 | P.M. Rosenau, 「Post - modernism and the Social Sciences」 (Princeton: Princeton Univ. Press, 1992) R. Ashley, "The Poverty of Neo-Realism" 「International Org. 」 38(2) 外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