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4-정치경제-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양동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1-01 ~ 1994-12-15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8·15해방에서 6·25전쟁까지 남한에서 활동했던 공산주의자들을 중심으로 한 좌익세력의 조직과 활동상황을 남로당 중심으로 하여 분석·정리함. 본 연구는 93년도의 남로당 조직과 활동에 관한 연구(Ⅰ)에 뒤이은 후속 연구로서 남로당의 활동을 정리·분석하는 것임.
연구 배경 남로당의 조직과 활동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사실의 기술에 그치고 있으며 공산주의자들의 조직과 투쟁에 관한 이론 및 소련, 북한으로부터의 영향 등을 심층적으로 고려한 분석을 결여하고 있어서 그러한 결함들을 보완할 필요가 있음.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 연구: 해방직후부터 6·25전쟁시기까지 남로당 세력의 투쟁활동에 관한 신문·잡지 기사, 미군정 및 한국정부의 관련 문서, 남로당계 인사들의 수기, 남로당 관계 사건을 수사한 인사들의 수기 등과 남로당의 활동에 관한 연구논저들을 수집·분석·정리함.
연구 내용 1. 해방 직후 좌익 활동 2. 모스크바협정 지지 투쟁 3. 46년 가을 파업 폭동 공세 4. 남로당 결성 후 1년간 투쟁 5. 남한 정부 수립 저지 투쟁 6. 정부 수립 후 6·25전쟁 발발 직전까지의 투쟁 7. 6·25전쟁 기간 중의 남로당의 활동 8. 평가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Ⅰ. 머리말
Ⅱ. 평화투쟁시기의 조직확대 중심 활동 1. 평화투쟁 전술 채택의 배경 2. 건준과 인공의 결성 3. 공산당의 외곽단체 조직과 확대 4. 민주주의 민족전선의 결성
Ⅲ. 비무장 폭력투쟁시기의 활동 1. 비무장 폭력투쟁전술로 전환하게 된 배경 2. 9월 총파업과 10월 폭동 3. 국대안반대 맹휴, 3·1절 집회, 3·22총파업 4. 7·27집회와 8·15폭동
Ⅳ. 무장투쟁시기의 활동 1. 무장투쟁전술로의 전환 배경 2. 2·17구국투쟁과 5·10선거 저지 투쟁 3. 제주도 4·3폭동 4. 남·북협상과 북한정권 수립 지원 투쟁 5. 군사반란과 유격투쟁
Ⅴ. 평가 |
||
연구결과 | - 「한국의 정치와 경제」에 발표 - 해방 3년의 정치사에 관해 본 연구자가 이미 수행했거나 차후 수행할 다른 연구결과들과 함께 묶어서 단행본으로 출간함. |
||
참고문헌 | 김남식, 남로당연구 Ⅰ,Ⅱ,Ⅲ (서울: 들베개, 1984) 고준석, 남조선노동당사(동경: 勁草書房, 1978) 박갑동, 통곡의 언덕에서 (서울: 서당, 1991) 양한모, 조국은 하나였나? (서울: 일선기획, 1990) HQ, USAFIXm G-2, Periodic Report 1485. 9-1489. 6 (춘천: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988)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조선공산당문건자료집 (춘천: 한림대 출판부, 1993)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