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정치경제-1
연구과제명
  • 국문 : 통일대비 연구 : 국학분야 남·북한 학술연구 동향분석
  • 영문 :
연구책임자 이기원
공동연구자
  • 유광호 / 본원 / 교수
  • 정영훈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4-01-01 ~ 1995-06-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 목적

- 분단 상황 하에서 남·북한이 각기 독자적으로 연구하여 온 국학 분야의 학술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검토·분석함으로써, 남북학술교류에 대비한 주요 분야별 학술연구 진흥방향 모색

- 국학 분야 남·북 학술 교류 가능성 및 그 우선 순위 탐색

 

연구 배경

- 본원 통일대비연구 5개년 계속사업으로서 2차년도 사업임.

- 통일 대비 차원에서 특히, 민족공동체 회복을 위한 기반조성을 한민족의 공동의 기반인 전통과 역사에서 찾는 것이 중요함. 이와 관련 그 기초연구로서 그동안 남북한이 독자적으로 진행하여 온 국학 분야 연구 동향을 연구해 볼 필요가 큼.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 방법

 문헌 연구가 주가 되나 연구 진행은 전문가 워크샵을 주기적으로 실시. 워크샵 결과를 위주로 연구보고서 작성

 

연구 내용

 분단 상황 하에서 그동안 남북한이 각기 독자적으로 진행시켜온 국학 분야 연구 학술동향을 ①역사 ②철학 ③사회민속 ④정치 ⑤경제 등 분야 별로 대별하여 체계적으로 파악

1. 분야별 주요 쟁점 비교 분석

2. 연구의 미비점 및 보완점 도출

3. 학술 교류 가능성과 그 우선 순위 및 실천 방안 모색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최근 북한이 보이는 민족문화유산에 대한 강조는 놀라운 인식의 전환이라기 보다는 '전술적 전환'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분석됨. 따라서 변화의 내용도 체제수호라는 목적에 따른다는 점에서는 이전과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음. 

참고문헌

국사편찬위원회, 「북한의 한국사 서술동향과 분석 - (조선전사) 33권을 중심으로 -」 (국사편찬위원회 제 13회 한국사 학술회의, 1989)

임효재, 「북한의 유물·유적 발굴 실태 및 남북한 학술 교류 방안」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동아문화」 23집, 1985)

이영훈, 「허준호의 조선봉건제론: 북한 역사학계의 조선사회 연구 근황 -남북역사학자의 지상토론-」 (「사회와 사상」 7호, 1989)

강광식편, 「남북학술교류: 여건진단 및 대비책 모색」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국토통일원, 「남북한 학술수준의 비교검토」 (1972)

박성봉, 「북한의 고구려사 서술」, 『북한학보』 13집 (북한연구소, 1979)

고영근, 「북한의 초기철자법과 문법연구」, 『정신문화연구』 36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신일철, 『북한 주체철학의 비판적 분석』 (사회발전연구소, 1987)

전경욱·최철, 『북한의 민족예술』 (고려원, 1990)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