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4-사회민속-6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문옥표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5-01 ~ 1994-11-30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 목적 현대사회는 생산보다는 소비로 특징 지워진다.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와 시장메커니즘을 통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유행, 새로운 스타일, 새로운 감각, 새로운 경험이 추구되며, 물질적 재화는 단순히 공리적 목적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나 집단의 취향과 라이프 스타일, 정체감을 표현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소비재와 용역, 유행과 디자인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고, 구매되고, 사용되는가, 그를 통하여 어떤 문화적 의미들이 만들어지고 전달되는가 하는 소비와 관련된 전체 문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현대사회의 이해에 매우 중요한 작업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소비문화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배경 현대 한국인의 소비문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 없으며, 소비에 관련된 사회학, 인류학 분야의 이론들은 대부분 선진산업사회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제시된 것이다. 따라서 한국에서의 경험적 연구를 위한 선행작업으로 외국의 관련연구물과 이론들을 검토하여 연구의 방향과 가설, 분석틀을 설정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금년도의 세미나에서는 이 단계의 작업을 계획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조사작업은 후속연구에서 이루어질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및 연구자들이 개별적으로 행하는 파일럿 서베이를 중심으로 한다.
연구 내용 1) 세계화·개방화와 한국인의 소비 유형 2) 한국의 대중문화와 소비 3) 계층에 따른 여가 생활의 유형 4) 여성 문제와 소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소비사회로 특징짓는 현대에서 한국사회의 소비문화를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다루고 있다. 단행본으로 출간. |
||
참고문헌 | 1. Arjun Appadurai ed, 1986 The Social life of things: Commodities in cultural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Featherstone, Mike 1990 Global Culture: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Modernity London: Sage Publication. Featherstone, Mike 1991 Consumer Culture & Postmodernism, London: Sage Publication. 4. Fox, R.W & T.J.J Lears, eds 1983 The Culture of Consumption: Critical Essays in American History 1880-1980. New York: Pantheon Books. 5. McCracken, Grant 1990 Culture and Consumption, Bloomington and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Press. 6. Miller, Daniel 1987 Material Culture and Mass Consumption, Oxford: Blackwell.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