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사회민속-5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의 동학과 동학농민운동
  • 영문 :
연구책임자 권희영
공동연구자
  • 박성수 / 본원 / 교수
  • 박영은 / 본원 / 부교수
  • 이강오 / 전북향토문화연구회 / 회장
  • 신용하 / 서울대학교 / 교수
  • 구양근 / 성신여자대학교 / 교수
  • 장영민 / 상지대학교 / 조교수
  • 박맹수 / 원불교 영산대학교 / 조교수
  • 박영학 / 원광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4-03-12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은 한국근대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사건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먼저 동학은 조선시대의 지배적 사상이었던 성리학 그리고 조선 후기에 유입되었던 천주학을 비롯한 서양 근대사상에 대하여 전통적인 민간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독특한 사상체계의 정립을 시도하였다. 이 새로운 사상은 농민층과 일부의 양반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동학농민운동은 동학교도들의 조직을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 조선시대 최대의 농민운동이라고 말할 수가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 운동을 평가하는 각 입장에 따라 난, 혁명, 농민전쟁 등으로 각기 달리 표현하여 왔다. 그러나 그 표현이 여하하던 간에 동학농민운동은 밖으로는 청일전쟁의 구실이 되었고 안으로는 갑오개혁의 실마리를 제공하였을 정도로 한국 근대사에 큰 분수령이 되고 있다. 

 1994년은 동학농민들이 봉기를 일으킨지 100주년이 되는 해이므로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의 역사적 위치를 점검하여보고 이 일대사건이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또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피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및 학술회의

 

연구내용

1. 동학사상의 검토

2. 동학농민운동의 검토

3.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한국근대사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제1부: 동학사상의 검토
  가. 朝鮮後期 社會思想과 東學農民運動
   나. 東學과 西學에 관한 문제고찰 
   다. 東學運動에서의 現代性
 2. 제2부 : 동학농민운동의 검토
   가. 東學農民戰爭의 地域性 硏究 -신원운동에서 1차봉기까를 중심으로- 
   나. 東學農民運動의 第2次 蜂起
   다. 東學農民戰爭의 原因과 性格
 3. 제3부 : 동학과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인식변화와 한국근대사 
   가. 東學亂·東學革命·甲午農民戰爭 -동학농민운동을 보는 南北의 視覺-
    나. 19세기의 동학운동과 통문 
    다. 동학농민운동과 글내성의 문제 

연구결과

연구 및 토론내용을 정리하여 단행본으로 출간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