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4-사회민속-4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복수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1-01 ~ 1994-12-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조선조 후기사회는 사회체계가 분화되면서 근대화가 시작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러한 조선조 후기사회를 당시의 전통적인 언론구조와 근대적인 매체의 등장과정 속에서 조명해 보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 방법 문헌연구 및 워크샵
연구 내용 1. 전통 언론매체(조보, 통문, 윤음, 상소, 격문 등) 사회 변화 2. 최초의 근대신문(한성순보, 주보 등)의 등장과 사회 변화 3. 근대 통신매체(우편제도, 전보, 전화 등)의 등장과 사회 변화 4. 민간신문(독립신문, 매일신문, 황성신문 등)의 등장과 사회 변화
본 연구는 한국근대사회의 변화과정에서 특히 언론과 사회 변화와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하며, 이를 위하여 위와 같은 4개의 세부주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다시 말하면, 본 연구는 전통적인 언론매체가 근대적인 언론매체로 변화되는 사회적 관계를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한국에 있어서의 근대사회로의 이행과정과 언론의 역할 그리고 언론 매체의 변화과정을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현대 한국인의 소비문화와 관련된 4개의 주제를 설정 관련문헌자료 조사와 개별적 파일럿 서베이를 실시하였음. 잠정적 결론으로는 현대 한국인의 소비행위에 있어 계층에 따른 차별화 및 문화의 상품화, 가치의 사앧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상들이 지적되었다. |
||
참고문헌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편, 「한국문화사대계」 11책, 197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6책 김규환, 「일제의 대한언론·선전정책」, 이우출판사, 1978 김두종, 「한국고인쇄기술사」, 심술당, 1974 신석호, "승정원일기해류", 「승정원일기」(영인본), 제1권, 국사편찬위원회, 1961 등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