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4-사회민속-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학에서의 談論構成(論)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영은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1994-01-01 ~ 1995-06-14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학이란 무엇인가, 또한 "한국적인 것", "전통적인 것"이란 무엇인가에 관한 물음은 그에 대한 명확한 "대답"이 없이 학자나 일상인들 사이에서 "이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담론이 한국학계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에 관한 이론적·방법론적 논의를 시도하여 "한국학"(재건 또는 해체이든)을 정초하는데에 기여코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한국(학)적인 것"을 구성하는 담론은 그 인식소(에피스테메)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장이 분석되어야 한다. "한국(학)적인 것"에 대한 언설은 학문세계 내적인 이해관계, 학과중심적 폐쇄성, 더 나아가 정치이데올로기적인 함의를 담고 있기 때문에, 담론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한국학"의 개념을 해체하고 좀 더 학문적·이론적 인식지평을 넓혀갈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학, 국학에 관한 논의는 광복이전과 이후에 큰 변화를 겪고 있고, 1990년대에 들어와 패러다임 전환과 함께 새로운 방향 모색이 요구된다. 따라서 한국학의 담론 상황을 검토하고, 국학담론의 구조로서 국학의 정신, 문화접촉과 그 전략, 국학담론의 언표를 다루었으며, 학문발전과의 관련에서는 "결핍의 언어"와 학문언어의 균열 그리고 전문분과로의 발전한계의 문제를 지적하고, 역사에 대한 기초이론적 연구방법과 담론의 민주화의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