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사회민속-2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민속사자료 체계화 사업(I) ㅡ세시풍속편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장철수
공동연구자
  • 주강현 / 경희대학교 / 강사
  • 박경하 / 중앙대학교 / 강사
  • 정승모 / 국립민속박물관 / 학예사
  • 장정룡 / 강릉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1994-01-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조선시대의 민속은 당시의 지배기념이었던 주자학과 농업생활을 바탕으로 형성되어, 현재까지도 전통적 생활양식으로서 굳건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의 민속사에 대한 자료는 현재까지 체계화되어 있지 못하여, 현재의 전통문화를 제대로 연구하는 데 많은 혼란을 빚고 있는 실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민속사자료를 연차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별로 정리하고, 당대의 전통문화 형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의 전통문화에 대한 총체적 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함.

 

   1. 세시풍속사 자료
   2. 민간신앙사 자료
   3. 주생활사 자료
   4. 의생활사 자료
   5. 의생활사 자료
   6. 생업사 자료

 

○ 연구배경
   1. 현재까지 민속사 자료가 정리된 바가 없기 때문에, 전통문화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그 1차 자료의 체계적 정리를 통하여 학술자료로 제공하고자 함.
   2.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풍속관계자료 촬요」 4권이 잘못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술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을 바로잡기 위해서 본 연구사업이 절대적으로 요청됨.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연구자가 전공하는 분야에서 세시풍속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2. 수집된 자료를 성격별로 정리한다.
   3. 성격별 자료를 주제별로 나누어, 주석작업을 한다.
   4. 통일된 주석작업을 위하여 1-2차의 워크샾을 가진다.
   5. 주석작업을 완료한 후, 연구보고서 작성을 위한 워크샾을 가진다.
   6. 워크샾을 통해서 얻어진 방향을 통하여 주제별 연구결과보고서를 작성한다.

 

○ 연구내용
   민속사자료 체계화사업의 첫 분야로 세시풍속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세시풍속은 조선사회의 내적 · 외적인 요인에 의해서 형성되고, 변화한다.
   외적요인으로는 또한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인 지배이념인 주자학과 曆法, 그리고 전쟁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들 수 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농업기술의 발달과 생태적 조건의 차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별 자료를 검토하여, 이러한 외적요인과 내적요인들이 세시풍속의 형성과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세 편의 관 · 혼례 관계 저술은 시기별로 18C초(사례편람), 18C말(가례작의), 19C말(광례람)에 쓰여진 것으로 약 100여년의 편차를 보이고 있으며, 저자도 각각 노론系(李縡)와 남인系(정다산)의 학자로 의례절차에서도 상이성을 드러내고 있다. (광례람은 全用俗例로 저자미상임)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세 문헌에 나타난 의례절차의 비교를 시도하여 차이를 제시하였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