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예술-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음악의 짜임새(Texture)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김세종 / 전남대학교 / 강사
  • 김해숙 / 중앙대학교 / 강사
  • 백일형 / 한국교육개발원 / 연구원
  • 공우영 / 총회신학대학교 / 강사
연구기간 1994-07-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한국의 전통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짜임새(Texture)에 관한 개념 규정과 그 성격을 밝히기 위한 연구.

 

○ 연구배경
   한국전통음악의 짜임새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그러나 단편적인 논의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그 짜임새를 헤테로포니(Heterophony)로 인식해 오고 있다. 따라서 정악과 민속악 그리고 창작음악에 이르기까지 한국음악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는 짜임새를 분명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한국전통음악의 특징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문헌에서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실제 음악의 조사와 채보를 통하여 분석될 수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실제음악의 조사, 채록과 이의 채보 및 채보된 악보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분석.

 

○ 연구내용
   연구자별 대상분야의 분담은 아래와 같다.

   ▨ 김해숙 --- 민속음악 (시나위를 중심으로)
   ▨ 백일형 --- 불교음악 (범패 짓소리와 헌향진언을 중심으로)
   ▨ 공우영 --- 창작음악
   ▨ 김세종 --- 정       악 (도드리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주제별 연구과제를 살펴본 결과 정악의 짜임새는 밑도드리를, 민속악의 짜임새로 시나위를, 불교음악의 짜임새로 짓소리를, 창작음악의 짜임새로 앙상블을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