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4-어문-5
연구과제명
  • 국문 : 개화기 · 일제시기 국어표기법사 연구(II)
  • 영문 : -
연구책임자 신창순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4-04-01 ~ 1994-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국어표기법(정서법)의 정립은 근대국가 형성에 있어서의 가장 기본적인 과제이므로 우리나라에서도 구한말에 국문연구소를 설치, 이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으나 일제 침략으로 나라의 주권을 잃고 그 치하에 들어감으로써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이 과제가 전개되었다. 그 상황에서 한편으로 우리학자들의 노력에 의하여 한굴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국어표기법의 전개나 그 내용에 대한 검토는 종래 국어학사의 저서 등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졌으나 본격적인 연구가 없었던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여를 채움으로써 국어표기법사 나아가서 국어학사의 인식에 중요한 기여가 되기를 뜻한다.

 

○ 연구배경
   근대국가 형성을 위한 기초작업 가운데의 하나가 그 나라 국어와 표기법을 근대적인 것으로 정리 · 규정하는 일인데, 우리나라에서도 구한말에 어문수리를 논의하는 기관으로서 국문연구소가 설치되었다. 이 연구소 위원들의 연구안이 이기문교수에 의하여 발견되어 '개화기의 국문연구'로 영인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안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한편 이 시기의 일반의 표기에서의 철자법을 조사 · 정리하고, 이들 자료를 비교검토하면서 이 시기의 표기법사를 밝히려 한다.
   일제 침략으로 1910년 국권을 잃게 되면서 우리의 어문수리ㅡ근대적인 국어, 국어표기법의 수립ㅡ사업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통치 시책의 틀 속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어문수리란 국가적인 권위의 뒷받침 아래 규정되는 것이란 점, 또 일제하 36년간의 시기는 한국근대화가 이루어져야 할 시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조선총독부에 의한 3회에 걸친 「언문철자법」 개정은 국어표기법사에서 퍽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곧 제1회 개정(1912)에 의하여 혼란하던 국어철자법이 비로소 일정하게 규정되었고 제2회(1921), 제3회(1930) 개정에 의하여 보다 근대적인 것으로 발전되었다. 이를 이어서 결정적인 것으로 가다듬은 것이 통일안맞춤법(1933)에 다름없다면 「언문철자법」 연구의 의의는 퍽 중요한데 종래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는 것은 기이하기까지 하다. 본 연구에서는 언문철자법 및 그를 적용한 총독부발행 「조선어독본」 등의 철자법을 자세히 조사하여, 이 시기의 표기법사의 부족을 메우려 한다.
   통일안맞춤법은 제3회 개정 언문철자법의 연장선상에 있으므로 통일안맞춤법의 바른 이해를 얻기 위해서는 위 언문철자법과의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이같은 연구도 진작 없던 바이다. 본 연구로써 그 부족을 메우려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국문연구소의 국어표기법안 분석
      가) 근대국가 성립과 정서법 정립의 의의에 대해 서술
      나) 국문연구소 설치의 경위 고찰
      다) 당시의 국어표기(철자법) 실태 조사
      라) 국문연구소 위원들의 인적사항, 연구보고서 조사 분석
      마) 주시경의 연구안의 분석과 그 뒤로의 변화 고찰
   2)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의 분석
      가) 3회 개정의 총독부 언문철자법의 검토 및 그들 사이의 변천을 살핌
      나) 이들 철자법이 적용된 교과서의 철자법을 조사하여 언문철자법과 비교
      다) 일반 사회에서의 철자법사용 실태조사, 총독부철자법의 실시상황 고찰
      라) 조선총독부의 「조선어」 및 「조선어과(科)」에 대한 어문정책, 교육정책을 조사하고 언문철자법의 배경을 살핌.
      마) 언문철자법과 항간의 우리학자들에 의한 국어표기법 연구와의 관련을 조사함.

 

○ 연구내용
   1) 국문연구소의 국어표기법안 분석
      가) 국문연구소 설치의 경위와 그 시말 및 그 의의 고찰
      나) 당시의 일반의 표기상황 조사, 요약
      다) 동 연구소 연구원들의 연구보고서의 검토와 분석
      라) 이들 연구안과 통일안맞춤법으로 결실되는 우리학자들의 일제하 표기법연구와의 관련을 고찰
   2) 조선총독부 언문철자법의 분석
      가) 언문철자법 3회 개정의 경위와 의의 고찰
      나) 이들 철자법의 내용분석, 검토, 그 변천의 비교, 고찰
      다) 이 철자법의 국어표기법사에서의 위치, 의의 고찰
      라) 이 시기 각문헌에서의 철자법 실태 조사
   3) 총독부 언문철자법과 통일안맞춤법과의 비교 분석
      가) 언문철자법(특히 제3차 개정안)과 통일안맞춤법과의 내용을 비교 검토하고 그 사이의 관련을 구명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서론

   2. 조선총독부 제1회 연문철자법개정(1912년) 고찰, 구한말 국어교과서의 철자법 별견. 제1회 언문철자법 개정의 경위, 의의

   3. 제2회 개정(1921년)-이 개정의 이유, 주시경 후계학진들의 새철자법 개혁으로의 노력과 이 철자법 개정에의 반영, 조선어연구회조직과의 관련

   4. 제3회 개정(1930년)에서의 새철자법 개혁을 이루기 위한 우리학자들의 노력과 성공, 총독부의 개혁에 따른 조치.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