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어문-3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한자어휘 집성연구(II)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양완
공동연구자
  • 김건곤 / 본원 / 조교수
  • 심경호 / 본원 / 조교수
연구기간 1994-01-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조선시대에는 많은 한자어휘자료집이 편찬 · 간행되었으나, 오늘날 우리가 문헌 해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주석 · 연구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자어휘자료집 중 대표적인 업적으로 평가되는 『재물보』를 대상으로 고유 한자어 및 특수관용한자어를 추출하여 현대 국어로 해석하고 그 구체적 용례를 제시, 한자어휘 용례사전 혹은 한자어휘 분류색인집으로 편찬 · 간행하여 국학연구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연구배경
   1. 조선시대 각종 문헌자료에는 우리 고유의 한자어 및 특수관용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일반 연구자들의 문헌해독에 많은 어려움이 되고 있다.
   2. 이런 점에 주목하여, 1991년에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한자어휘 집성연구(1)"을 추진한 바, 거기에서는 『광재물보』를 대상으로 어석자료를 정리하고 현대어 해석을 부기하여, 역대 어휘자료집의 정리 · 연구방법 및 한자어휘 용례집 편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3. 본 연구는 '91년도 연구의 계속사업으로, 『광재물보』와 상호 계승관계가 추정되는 『재물보』를 대상으로 '91년도 연구와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두 결과물을 한 데 집성하여 보다 완전한 조선 후기 한자어휘 용례집(분류색인집)을 편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문헌연구 ('91년도 연구방법에 준함)
   1. 『재물보』의 이본(7종) 및 조선시대에 편찬된 한자어휘 관련자료집을 수집한다.
   2. 『재물보』의 이본 7종에 수록된 한자어를 채집하여 10부로 분류한다.
   3. 채집 · 분류한 한자어를 표제화한다.
   4. 해당 한자어에 대해 원주 및 현대어석을 부기한다.
   5. 이본을 대비 · 교감하고, 해당 어휘집의 성격 · 가치를 다른 한자어휘집과의 관계 속에서 고찰한다.
   6. 유별 및 종합색인을 작성한다.

 

○ 연구내용
   1. 현재 확인되고 있는 『재물보』의 이본 7종에 수록된 한자어휘들을 10부로 분류하여 표제화하고 원주와 주석을 부기한다.
   2. 『재물보』의 이본을 상호 대비하고, 내용 · 가치 · 성격 등을 탐색한다.
   3. 채록 한자어휘들을 색인화한다.
   4. 조선 후기에 사용된 한자어휘의 총량과 성격 및 이 시대 한자어휘집 상호간의 계승 관계를 구명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유희의 『물명고』에 대하여 원문을 교감하고 한자어휘를 채집하여 용례를 제시하는 한편, '91년도에 카드화한 『광재물보』의 어석자료를 전산입력하여 두 결과를 종합한 색인을 작성함.

   2. 『광재물보』와 『물명고』를 중심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어석자료집의 성격에 대하여 해제적 연구를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