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어문-2
연구과제명
  • 국문 : 국어 순화를 위한 고유어 조사 연구 VIII
  • 영문 : -
연구책임자 송기중
공동연구자
  • 홍윤표 / 단국대학교 / 국문과 교수
  • 정광 / 고려대학교 / 국문과 교수
연구기간 1994-03-01 ~ 1994-12-10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본 조사연구 사업은
   1) 최근세까지 사용되다가 소멸된 고유어를 찾아서 현대국어에 범람하고 있는 한자어와 외래어를 대치할 수 있는 참고서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2) 근대국어 연구의 용례 사전을 편찬 발행함으로써 학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한다.

 

○ 연구배경
   15세기 중엽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부터 등장한 한글 문헌에 대한 연구는 주로 15~16세기(통칭 '후기중세국어')에 치중하여, 지금까지 발행된 고어사전류에도 주로 중세국어 어휘만이 수록되었다. 본 과제의 편찬 대상은 17~19세기 한글 문헌에 등장하는 고유어 어휘로 고어 사전류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다.
   이 사업은 1987년부터 시작된 계속사업으로, 1992년까지 17~19세기 문헌 130여권을 완전 입력하고, 1993년도에는 그중 17세기 문헌 50여권을 교정 · 분석 · 기본형 첨가 · 정리 등의 작업을 수행, A4 용지 약 4,000매의 결과를 1994년 초에 발행할 예정이다.
   1994년도에는 이미 입력된 18~19세기 자료 80여권에 대한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예정이다.
   그동안 자료가 방대하고 고어 한글과 희귀 한자의 컴퓨터 처리에 무수한 어려움이 있어서, 교정 · 재배열 · 대치 등의 작업이 예상외로 지연되었다. 특수 프로그램을 여러 가지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근대국어 문헌을 컴퓨터에 완전히 입력하여 어휘-문장 단위로 처리하고, 각 어휘의 기본형을 밝혀 표제어로 삼고, 현대국어 의미를 붙이고, 표제어의 자모순으로 정리한다.

 

○ 연구내용
   17~19세기에 간행된 현전 한글 문헌 130권에 등장하는 국어 어휘 전체를 정리하여, 어휘별 용례 사전을 편찬함으로써, 이용자들이 개별 어휘가 포함된 문장의 예를 쉽게 참고할 수 있게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1989년부터 컴퓨터에 입력한 17-19세기 국문문헌 중에서, 18세기 문헌 57종 80여권(A4 용지 약 2000매)을 다시 확인 교정하고,

   2) 어휘별 재정리, 표제어의 현대국어 의미 첨가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