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어문-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고전소설독해사전(III) - 별쥬부전 외 5작품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광호
공동연구자
  • 서대석 / 서울대학교 / 교수
  • 조희웅 / 국민대학교 / 교수
  • 이남순 / 홍익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4-03-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1. 한국 고전소설을 독해하는 길잡이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 고전소설에 있는 어휘, 고사성어, 인명, 지명을 해독함.
   2. 고전소설을 대학 및 대학원에서 강독함에 있어 필수적인 참고서가 되게 함으로써 한국 고전소설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민족문화창달에 기여하게 함.
   3. 국어사전 편찬에 이용하게 함. 현재 국내에서 간행된 고어사전이나 현대국어 사전에는 한국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단어, 어구, 인용구 등이 전혀 표제항목으로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완전한 사전이 될 수 없음. 따라서, 국어사전이 완전한 것이 되게 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됨.
   4. 한국 고전소설을 현대 국어로 바꾸고 또 난해한 부분을 주석하는 데 이 연구가 기초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함.

 

○ 연구배경
   민족문화를 계승 · 발전시키고 우리 문학을 완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서 '한국 고전소설 독해사전'은 꼭 필요한 책이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은 곧, 한국 고전소설을 완전히 이해하게 하는 데 길잡이가 될 수 있고 소설에 나타나는 단어, 어구, 인용구 등은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하여 문학예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한편, 대학의 학부나 대학원에서 고전소설을 강독함에 있어 필수적인 참고문헌이 있어야 되겠다는 생각에서 이 한국고전소설 독해사전을 연구과제로 택하게 되었다.
   실제로 현존하는 고어사전이나 국어사전에는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단어, 어구, 인용구 등이 전혀 표제항목으로 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국어사전을 완벽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점도 이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표제어 작성: 공동연구자들이 표제어를 작성하고, 상호 논의를 거쳐 표제어 항목을 확정함.
   2. 표제어 해독: 분담한 표제어를 해독함에 있어, 가장 객관적인 내용이 되도록 함.
   3. 초고의 검토: 작성된 초고를 공동연구자 상호간에 검토하고 잘못된 것을 시정함.
   4. 검토된 초고를 보고서로 작성: 제출된 초고를 보고서로 작성함.

 

○ 연구내용
   (1) 소설에 나타나는 한자계 어휘 및 고사성어, 인명, 지명 등을 해석함.
   (2) 소설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어려운 단어를 해석함.
   (3) 한자어휘를 현대국어로 고치고 ( )에 漢字를 삽입하여 이해를 돕게 함.
   (4) 문법형태소 가운데서 표기법이 다른 것을 하나로 통일하여 해석하고 그것에 해당하는 현대국어의 형태소를 첨가시킴.
   (5) 문법적으로 설명해야 될 표제항을 선정하고 현대국어로 해석함.
   (6) 표기법의 잘못을 지적하고 현대국어 표기법을 첨가함.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고전소설 별주뷰전 외 5작품의 분석
   1. 문법적으로 변화된 형태소의 해석
   2. 고유어의 단어, 한자어의 뜻풀이 제시
   3. 고사성어 및 인용문의 출전 및 그 뜻풀이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