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역사-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3) - 비교사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성수
공동연구자
  • 김호일 / 중앙대학교 / 교수
  • 이현희 / 성신여자대학교 / 교수
  • 오인석 / 서울대학교 / 교수
  • 오금성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4-03-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한국사의 시대구분의 이론을 제공하고 한국사의 종합적 이해를 토대로 각 시대의 특징을 밝히어 한국사의 체계적 정리 틀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배경
   한국사 시대구분론은 1970년대에 한국경제사학회에서 주관하여 종합토론을 가지고 그 결과로서 「한국사시대구분론」이란 책을 간행한 바 있으며, 1991년에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 문제로 학술발표회를 가졌으나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는 바 이는 몇 사람이 발표하였고 학계의 연구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1992년에는 한국고대사학회에서 고대사의 종말이라는 제목으로 부분적인 시대구분론 토론을 한 바 있다. 현재 학계에서는 한국사 시대구분론을 총체적으로 재시도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지금까지의 학계의 연구성과를 가능한 모두 수렴하여 시대구분에 응용함.
   2. 주에서는 원전사료의 이용은 가능한 줄이고 참고한 연구업적은 필자, 〈논문제목〉 〈〈게재서명〉〉 출간년도 쪽을 단다.
   3. 시대는 선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크게 구분할 때 각 시대 안에서 시기구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까를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서술한다.
   4. 시대 및 각 시대 안에서의 시기구분을 자기가 다루는 분야의 전문적인 것과 일반 역사적 경향과도 관련지어 설명한다.
   5. 각 분야에서는 가급적이면 고대로부터 현대까지의 변화추세를 서술하도록 한다.
   6. 각 분야사에서는 어느 한두 문제에 국한시켜 중점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7. 원고량은 150매 이상으로 한다.

 

○ 연구내용
   각 연구제목은 다음과 같다.

   1. 중세에서 근대로의 전환과 각 시대의 특질
   2. 근대와 현대사회의 특질
   3. 북한에서의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4. 서양사의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5. 중국사의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6. 일본사의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지금까지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고 그것을 토대로 시대구분을 새롭게 시도하였으나 통일된 결론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앞으로 관심있는 연구자들을 모아 함께 논의토론하여 통일된 의견을 내도록 노력하여야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