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역사-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1) - 특수사 시대구분론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인구
공동연구자
  • 서영대 / 인하대학교 / 교수
  • 노중국 / 계명대학교 / 교수
  • 신형식 / 이화여자대학교 / 교수
  • 김태식 / 홍익대학교 / 부교수
  • 권영필 / 고려대학교 / 교수
  • 조동일 / 서울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4-03-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한국사의 시대구분의 이론을 제공하고 한국사의 종합적 이해를 토대로 각 시대의 특징을 밝히어 한국사의 체계적 정리 틀을 마련하고자 함.

 

○ 연구배경
   한국사 시대구분론은 1970년대에 한국경제사학회에서 주관하여 종합토론을 가지고 그 결과로서 「한국사시대구분론」이란 책을 간행한 바 있으며, 1991년에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 문제로 학술발표회를 가졌으니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는 바 이는 몇 사람이 발표하였고 학계의 연구성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1992년에는 한국고대사학회에서 고대사의 종말이라는 제목으로 부분적인 시대구분론 토론을 한 바 있다. 현재 학계에서는 한국사 시대구분론을 총체적으로 재시도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지금까지의 학계의 연구성과를 가능한 모두 수렴하여 시대구분에 응용함.
   2. 주에서는 원전사료의 이용은 가능한 줄이고 참고한 연구업적은 필자, 〈논문제목〉 〈〈게재서명〉〉 출간년도 쪽을 단다.
   3. 시대는 선사,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크게 구분할 때 각 시대 안에서 시기구분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까를 제시하고 그 이유를 서술한다.
   4. 시대 및 각 시대 안에서의 시기구분을 자기가 다루는 분야의 전문적인 것과 일반 역사적 경향과도 관련지어 설명한다.
   5. 각 분야에서는 가급적이면 고대로부터 현대까지의 변화추세를 서술하도록 한다.
   6. 각 분야사에서는 어느 한 부분 문제에 국한시켜 중점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
   7. 원고량은 150매 이상으로 한다.

 

○ 연구내용
   각 연구제목은 다음과 같다.
   1. 고고학의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2. 문학사에 있어서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3. 미술사에 있어서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4.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과 각 시대의 특질
   5. 정치사에 있어서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6. 한국사 시대구분론의 실제와 이론
   7. 민속사에 있어서 시대구분과 각 시대의 특징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삼국시대의 각 국별 또는 고고학, 미술사, 국문학의 측면에서 역사의 특징을 가리어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대략 전기, 중기, 후기 등의 시기를 구분하였음. 그러나 통일된 결론은 도출해 내지 못하였음. 앞으로 전국 학계의 관심있는 연구자를 모아 함께 논의토론하여 통일된 의견을 내도록 노력하여야 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