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철학종교-6
연구과제명
  • 국문 : 텍스트이론에 의한 노장과 혜시의 읽기와 한국철학에로의 전이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형효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4-02-01 ~ 1994-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韓 · 中 · 日에서 나온 기존의 老莊연구서들은 老莊之道를 거의 예외없이 無爲之道, 無慾之道, 反人文自然之道로서 해석하면서 老莊之道를 인생의 처세훈이나 지혜의 경구 정도로 보고 있다. 더구나 惠施의 명가는 논리적으로 背理에 가득찬 궤변으로 보아왔다. 그러나 그렇게 보아온 老莊과 惠施의 해석은 老莊과 惠施의 행간적 사고를 읽지 못하는 철학적 지성의 결핍에 기인한다고 text 이론상으로 말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대에 주목받고 있는 text 이론에 입각해서 老莊과 惠施의 표피적 의미론이 아니라 통사론적 해독을 통하여 아직 한국학계에서 눈뜨고 있지 않은 그 점을 해명하고자 하고, 동시에 그 연구성과에 입각하여 신라불교의 양대지주인 원효와 의상의 불교철학을 text 이론으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함. 그래서 학계에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자 함.
   이렇게 함으로써 동양철학이 세계사적으로 21세기에 다시 재각광을 받는 계기가 되고 동양문명의 21세기적 부각과 한국의 창조적 지성의 방향을 정립하는 데 일조가 될 것으로 사료됨.

 

○ 연구배경
   텍스트이론은 현상학과 해석학 이후에 등장한 새로운 문헌의 해독방법이다. 이 해독방법은 단순히 문헌해독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와 우주를 보는 문법과도 직결된다.
   종래의 철학적 해석은 의미론에 치중하였으나 text 이론은 textile처럼 구문의 통사론적 엮음을 통하여 사고의 법칙을 밝혀 나간다. 이런 text 이론을 일명 문법학이라고 하기도 하고 동시에 gramme 이론이라 부르기도 한다. gramme 이론은 logos 이론과는 대조되는 사유방법이다. 이 문법학의 이론에 입각하여 老子의 『道德經』과 莊子의 『內』 『外』 『雜』편 그리고 惠施의 言表들을 규명해나갈 것이다. 이런 text 이론에 입각한 관점은 이미 동양사상을 연구하는 선진국에서도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문화이론과 사회이론에도 적용되고 있음. 따라서 老莊과 혜시의 text 이론은 우리나라의 사상계에 하나의 새로운 철학적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학과의 연관성을 짓기 위해서 元曉의 「金剛三昧經論」과 「大乘起信論疏」 「涅槃經宗要」 등과 義湘의 「華嚴一乘法界圖」의 해독에로 전이를 시도하여 韓國哲學史의 이론적 풍요화에 기여할 생각임.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연구〉
   1. 문헌연구에서 우선 derrida를 주축으로 하고 기타 Deleuze, Lyotard의 text 이론을 분석함.
   2. 현대 문명사회의 text 이론의 성과를 조명함.
   3. 老子와 莊子를 『老子襄』과 『莊子襄』에 근거하여 그 古註들과 함께 text 이론으로 전개함. 아울러 惠施의 paradox도 해독함.
   4. 元曉와 義湘의 불교사상을 text 이론으로 재해독함.

 

   이상의 요목을 골간으로 하여 졸저 『데리다의 해체철학』과 졸고 「데리다와 장자」, 「노자와 장자의 사유문법」의 기초토대 위에서 해체철학의 관점을 새롭게 조명하고 기존 예비연구에서 이룬 성과를 기본으로 하여 노자의 『도덕경』, 『장자의 내 · 외 · 잡』 전부, 그리고 『장자』 잡고에 실려 있는 30여편의 혜시의 제를 광범위하고 심층적으로 분석 기술할 것임. 아울러 그 성과의 열매를 신라불교의 상징인 원효와 의상의 text에도 이전하여 새로운 원효와 의상의 철학적 해독법을 결론으로 제시할 예정임.

 

○ 연구내용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이 짜여짐
   1) 서론 : 테스트이론과 文字學的 差延의 論理
    2) 老子의 『道德經』과 補充代理의 理論
    3) 莊子의 超過的 思惟와 同居論의 文法
    4) 惠施의 파라독스의 解讀
    5) 元曉의 text 이론
   6) 義湘의 文字學 이론

 

   연구가설은 현대철학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text 이론을 토대로 하나의 동양의 도가와 명가의 기본 text를 문법적으로 읽는 것을 시도하게 될 것임. 여기서 문법적 읽기란 과거의 의미론적 문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주라는 text의 textile을 해독하는 철학적 법칙을 말한다.
   이미 서구에서 동양의 노장과 불교철학에 대한 새로운 포스트 모던적인 해독법을 연구하고 있는데 한국의 철학계는 이점에서 대단히 둔감하다. 이런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21세기 문명의 성격에 대한 새로운 사유의 길을 암시 받을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I. 노자의 독법

II. 장자의 독법

III. 혜시의 독법

IV. 원효의 독법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