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4-철학종교-5
연구과제명
  • 국문 : 현대한국철학에 있어서 창조적 지성의 방향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해창
공동연구자
  • 나성 / 한신대학교 / 조교수
  • 김용정 / 동국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4-07-01 ~ 1994-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한국철학계에 현존하는 다양한 사상체계들의 근본적인 재검토와 철학적 반성을 근거로 문화적 사상과 도덕적 가치의 새로운 철학적 종합의 모색을 위한 비판적 인식사유와 윤리적 사고의 활성화를 꾀하여 한국철학의 생명력 있는 철학사상에로 변혁을 시도적으로 추구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음.

 

○ 연구배경
   한국철학이 생명력 있는 철학사상으로 변혁하기 위하여 그간의 철학적 연구형태의 개혁이 전제된다 하겠다.
   ① 한국전통철학의 경전번역과 해서거에 있어서 훈고학적 태도에서는 현대철학적 의미의 개념적 엄정성과 언어의 명료성 등이 결여되어 있다.
   ② 구미철학의 서양우선주의의 편협한 독선주의에서는 서양지적 전통에 내재되어 있는 긴장과 모순을 겸허히 반성하는 태도와 한국의 전통사상에서 교훈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결핍되어 있다.
   ③ 이 둘의 편파적인 선호를 초월하여 서로의 단점을 극복하고 또 서로 장점을 창조적으로 변형하고 종합하여 보편타당성을 갖는 한국철학의 활성화의 추구가 본 연구의 배경임.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연구

 

○ 연구내용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지구촌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해야 됨은 필연적인 시대적 요청이다. 이에 철학적 역할에 대해 학문적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전통사상의 토착적 요소와 다양한 구미철학의 영향을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한국이 오늘 처한 좌표를 설정하고 한 걸음 더 가서 미래지향적인 발전의 논리를 가설적으로 모색하여 한국철학의 활로를 개척하는 데 논의의 초점을 두자는 것임.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한국철학의 창조적 발전
   - 서양철학의 관점에서 (정해창)

2. 현대한국철학에 있어서 창조적 지성의 문제 (나  성)

3. 동서비교철학소론 (김용정)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