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4-철학종교-3
연구과제명
  • 국문 : 艸衣 禪師의 禪과 茶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지견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5-01-01 ~ 1995-12-18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면우 곽종석(면우 郭鐘錫 1846-1919)은 한국성리학에 있어서 독특한 심즉리(心卽理)설을 이론적으로 견지하면서 한말의 성리학을 결산하였다고 평가되는 대학자이며, 초의 의순(草衣 意恂 1786-1866)은 선(禪)사상가로 뛰어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아직까지 학계에서 널리 연구되지 못한 사상가이므로 이들의 사상을 연구하여 학계에 공헌하고자 함.
   곽종석은 파리장서의 민족대표로서, 선진시대의 유가경전은 말할 것도 없고, 도가와 불가의 경전까지 섭렵하였으며, 특히 송대의 성리학에 관심을 가지고 깊이 연구하였고, 25세 ㅔ때에는 이진상의 문하에서 심즉리설을 확고히 정립하였음. 의순은 전국의 고명한 학승들로부터 삼장을 배워서 통달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일의 선지를 이어받았으며, 불교 이외에도 유학과 도교에 통달하였고 범서에도 통달하였음. 두 사람은 모두 한국사상사에서 중시될 만한, 숨어 있는 학자들임.

 

○ 연구배경
   면우 곽종석에 대하여는 박종홍 · 금장태 · 고광직 · 이병도 · 허선도 등에 의하여 단편적으로 연구된 사례가 있으며, 초의 의순에 대하여는 이능화 · 한기두 · 김상현 등에 의하여 단편적으로 연구된 바가 있으나, 그 사상적 위치를 밝히기에는 매우 미약한 형편임.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면우집 · 다전경의답문 · 예의문답류편을 비롯한 곽종석에 관한 자료와, 초의시고 · 대둔사지 · 해동불조원류를 비롯한 의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그 자료적 성격을 검토하고, 분석과 해석을 통하여 그 사상적 특성과 사상적 위치를 탐색하여 규명하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주로 함.

 

   〈문헌 연구〉
   1. 자료 수집 및 분석
   2. 자료의 문헌적 가치 검토
   3. 경학사상의 특성 검토
   4. 역학사상의 특성 검토
   5. 철학사상의 특성 검토
   6. 선(禪)사상의 쟁점 검토
   7. 선(禪)사상의 특성 검토

 

○ 연구내용
   곽종석의 경학사상 · 역학사상 · 철학사상과 의순의 선사상을 연구함으로써 그들이 한국철학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밝힘.


   다음과 같은 4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4인이 분담하여 연구하기로 함.

   ▶ 면우 곽종석의 경학사상(지교헌)      의무과제
   ▶ 면우 곽종석의 역학사상(김경일)      의무과제
   ▶ 면우 곽종석의 철학사상(송석준)      추가과제
   ▶ 오의 의순의 선사상(김지견)            의무과제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초의 의순의 禪農一致 · 禪茶一体 사상은 유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하여 습득한 実學精神의 실천적 발로이다. 또한 이것은 실생활에서의 禪修行이었으며, 이러한 정신은 근대 불교 개혁 운동의 지표가 되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