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1994-철학종교-1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형효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4-03-01 ~ 1994-12-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 연구배경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이상의 문헌연구를 통하여 율곡을 21세기에 새롭게 부각시켜 재조명하고 한국문화의 유산에서뿐만 아니라 미래적 창조의 논리를 담고 있는 이론가로서의 율곡철학을 종합적으로 보려고 노력하겠음.
○ 연구내용
율곡사상의 철학적 해석은 프랑스 현상학적 철학자인 메를로-뽕떼와 비교하여 율곡의 이기철학을 현상학적으로 규명할 내용임. 그리고 유학적 해석은 율곡의 유학사상과 그 이론이 현대적으로 갖는 그 의미를 현양하고 윤리학적 해석은 오늘처럼 윤리도덕의 위기시대에 그의 인심도심 등 기타 윤리사상이 갖는 시대적 의미를 밝히고 기타 정치사회학적 해석과 교육학적 해석은 민주주의 시대의 율곡의 경세사상과 교육사상의 깊이를 재조명하는 순서로 이루어질 것임.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결과물을 통해 율곡의 사유가 유기적 일관성과 전체적 맥락을 가지는 복합적 사상가이며, 그 시야는 인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물리적 자연계를 포괄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음. 그의 사유에서 정치적 구상은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하고 있고 교육의 플랜은 정치적 인식과 역사의식을 떠날 수 없는데, 그 다양한 영역의 연관을 통찰하고, 그것을 입론하는 율곡의 방식은 지극히 현대적인 것이었음을 알게 되었음.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