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9-현대사-1
연구과제명
  • 국문 : 1960년대초 주요 정치지도자 연구: 윤보선, 장면, 박정희를 중심으로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윤재
공동연구자
  • 심지연 /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교수
  • 김영수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책임연구원
연구기간 1999-03-01 ~ 1999-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주로 해방직후 한국정치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 이 기간에 대한 연구가 많이 축적되어 있음.
   - 그러나 이제는 60년대 한국정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동시대에 주요한 역할을 했던 지도적 인물들에 대한 재평가를 위한 새로운 연구들이 필요함.
   - 그래서 본 연구는 60년대 초 한국정치사상 주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는 윤보선, 장 면, 박정희 등 세 인물을 선정하여, 한국근대화의 전환기였던 동시대에 각각 어떠한 사고와 행동을 보였는가를 분석 · 평가할 것임.

 

○ 연구배경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시대별 연구를 시행할 때, 대부분 구조기능주의적 접근 혹은 정치사적 접근을 시도해왔기 때문에 각 시대의 주요 인물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드물었음. 그러나 앞으로는 한국의 근대화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와 평가가 시도될 필요가 있는 바, 이러한 작업의 준비의 하나로 필자는 한국근대화의 전환기였던 1960년대 초에 정치적으로 주요한 비중을 차지했던 윤보선, 장면, 박정희 등 3인의 정치지도자들의 시대인식과 행동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와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함. 본 연구는 그간의 연구의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고 한국정치학에 있어서 리더십적 접근(정윤재, 1991) 혹은 전기정치학적 연구(신복룡, 1998)를 진작시키는 것을 잠정적인 목표로 삼고 있음.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문헌연구 및 연구대상인물과 관련된 인사와의 면접대담을 기본으로 함
   - 인물연구방법에는 크게 정치리더십(Tsurutani 1973, Tucker 1981, Chung 1988)의 적용에 의한 분석과 평전적 연구방법(Biographical approach)가 있는 바, 연구대상 인물의 특징을 부각하는 데 유리한 방법을 각 연구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것임.

 

○ 연구내용
   - 본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연구자들이 전제하고 있는 가설은 다음과 같음.
      1. 정치지도자를 포함한 주요인물들의 행동은 정치사회적 변화과정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2. 제2공화국의 붕괴는 최고지도층의 리더십 빈곤과 깊은 연관이 있다.
   - 본 연구는 각 인물들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로 다룰 것임.
      1. 각 인물들의 성장 및 사회, 교육배경
      2. 각 인물들의 사상적 성향과 시대상황인식
      3. 각 인물들의 리더십 스타일의 특징(개인적 특성, 인간관계, 국민들과의 관계 등)
      4. 4.19와 5.16과 관련한 각 인물들의 행동상 주요특징
      5. 각 인물들에 대한 동 시대인들의 평가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민주당의 결성과 윤보선의 리더십 연구

▶ 장면총리의 정치리더십과 제2공화국의 붕괴

▶ 박정희의 정치리더십을 중심으로

연구결과

   - 연구결과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위의 연구계획과 동일함.

   - 그러나 연구협의회를 통한 상호통론과정에서 공동연구답게 연구방법을 Tsurutani의 분석틀을 다같이 원용하여 각 인물들의 리더십행동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여 쓰루타니의 근대화리더십에 관한 이론을 공통적으로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음.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