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9-개인과제-17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김병선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9-08-01 ~ 1999-12-15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이 연구는 하이퍼텍스트 이론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문학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이퍼텍스트는 인터넷의 대표적인 문서형태로 활용되면서, 전자문서(electronic document)의 전형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하이퍼텍스트의 개념은 종이문서(paper document) 저작활동의 한계를 절감하고 있던 이들에 의해 오래 전부터 생각되어 왔고, 비록 그러한 용어는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하이퍼텍스트적 저작활동의 결과물로 볼 수 있는 저작물들이 발표되기도 했다. 이 연구에서는 하이퍼텍스트 이론의 관점에서 한국문학 작품 중 그러한 저작물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한국문학 연구의 지평을 확대시키려는 것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적용 단계로서, 하이퍼텍스트 이론에 의하여 문학작품을 직접 분석한다. 이를 위해 종이문서에 의한 저작에 있어서 전통적인 작법을 탈피한 한국 문학작품을 수집한다. 특히 이상(李箱)의 작품세계를 하이퍼텍스트 이론에 의해 분석한다. 이상의 작품은 당대의 독자들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이었으며,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이 논문에서는 이상이 종이문서 저작을 탈피하기 위하여 만든 작품들이 하이퍼텍스트로서의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보려 한다. 하이퍼텍스트 이론으로 분석한 결과를 예증으로 활용한다.
정리 단계로서, 하이퍼텍스트가 인간의 보편적 저작활동에 대한 욕구와 접맥되어 있음을 밝히고, 한국문학 연구 혹은 장차의 전자문서 저작물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하이퍼텍스트 이론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한다.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 연구결과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위의 연구계획과 동일하다. - 이 연구를 통하여 지식정보사회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하이퍼텍스트의 기본 이론이 정립되었으며, 이를 문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아울러 하이퍼텍스트적인 저작활동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였다. 기존의 문학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종이와 인쇄 매체에 의존하는 특성상 그것에 대한 완벽한 하이퍼텍스트적 분석은 불가능하며, 다만 그러한 문학작품들이 인쇄문학의 관습에서 탈피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을 밝혀낸 것이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