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14
연구과제명
  • 국문 :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역사의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구복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4-01 ~ 1999-11-3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조선왕조의 건국이념과 통치이념이 세종대에 마련한 용비어천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로 역사적, 신화학적, 사상적 견지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조선왕조 초기의 역사 의식을 사학사적 관점에서 음미 분석하여 왕조의 500년 수성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용비어천가의 제작과 반포, 그 활용에 있어서 일관된 당시의 사상적 기조를 역사적, 사상적, 사회적, 문화적 관점에서 밝히려 함이 본 연구의 주목적이다. 이는 용비어천가의 이해에 새로운 면을 제시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화 인류학적, 역사학적 방법을 동원하여 용비어천가의 거시적 성격을 고찰하고자 함.

 

○ 연구내용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로 살핀다.
   1. 용비어천가에서 주대 왕실과 조선 창업과정을 비교한다.
       주대에 대한 문화적, 역사적, 사상적 인식과의 관련성 여부
   2. 역성혁명 과정에서 반대파의 견해를 잠재우고 그에 관한 기록을 모두 없앤 후 건국 승리파의 견해를 정론으로 정착시키려는 목적의식의 작용 여부
   3. 선행하는 건국신화와의 관련성의 비교연구
   4. 당시의 국가적 과제에 대한 파악, 인식의 문제
   5. 수성지책으로의 강조한 문제
   6. 후대 왕들의 용비어천가의 인식 문제
   7. 주석학의 학문 방법적 수준 검토
   8. 고려의 훈요 10조와 용비어천가의 비교 등 용비어천가의 실용적 의미 등에 관한 사학사적 연구를 시도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용비어천가의 주해는 역사적 사실을 상세히 붙여 용비어천가를 이해하기 쉽게 한 자료로서 이는 중국사서와 우리나라측 고사가 서경이나 사기로부터 세종대의 사실까지 망라되었다. 특히 주는 발음과 뜻을 설명한 주와 역사적 내용을 설명한 로 되어 있으며 주는 당시의 용어와 역사적 내용을 전해주는 점에서 사료로서도 중요성을 가진다. ‘는 용비어천가에 관련된 내용을 싣되 관련된 내용을 상세히 실음으로써 용비어천가 주해를 낸 사람들의 역사지식이 종횡으로 구사되어 있다. 용비어천가의 내용에 따른 해설이므로 일정한 역사서술은 아니지만 이를 역사서로 인식하여도 좋을 것이다. ‘의 내용은 당시의 역사학적 전통과는 달리 인용서의 전거를 밝히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우리나라 측 고사가 당대의 일이기 때문에 전거를 대지 않은 것으로 이해된다. 문헌자료는 태조실록 총서가 주로 인용되었음은 이미 학계에서 밝혀진 바이다. 중국사의 경우 자치통감, 24, 대학연의 등이 이용되었으나 이를 정확히 밝히는 일은 대단히 어렵다. 역사의식은 세종의 선계에 대한 족적 의식이 반영되었고, 역사를 실용적으로 이용한 점, 원나라에 대한 비판적 의식보다는 우호적 의식, 정적의 폄하, 문화적 자존의식이 강하게 반영되었다. 이 용비어천가의 해는 우리나라 측 사료는 미화 과장된 것도 많이 있으므로 이를 신중히 이용해야 할 것임을 밝혔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