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과제코드 |
1999-개인과제-13 |
연구과제명 |
- 국문 : 21세기 한국사회의 정보윤리 정립에 관한 연구
- 영문 : -
|
연구책임자 |
박동준 |
공동연구자 |
|
연구기간 |
1999-06-01 ~ 2003-10-30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21세기 정보사회는 전에 없던 정보산업, 지식산업이 현저하게 더욱 촉진될 것이고, 그것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더해질 것이다. 과거의 산업들도 건재하면서 정보기술과 융합되어 정보화된 산업의 모양으로 진행될 것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산업사회에 걸맞는 직업윤리의 미정립은 경제력을 약화시키고 사회기강을 뒤흔드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진단이다. 산업사회에서 새롭게 형성된 지배계층들, 특히 권력을 가진 계층과 부를 소유한 계층이 산업화에 따른 여러 가지 사회적 폐해들을 사전에 충분히 예상하고, 윤리적으로 미리 규범을 확립했더라면, 산업사회의 문제점들이 지금보다는 훨씬 줄어들었을 것이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전환되는 이 시점에서 새로운 윤리규범이 요구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른 문제점들을 예상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면밀하게 세워 나간다면 다가오는 정보사회를 슬기롭게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보와 관련된 윤리적인 새로운 가치규범을 정립하여 사회구성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정보윤리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국내 · 외의 저서, 논문 등의 연구성과를 분석하여 종합하고 정리하는 문헌연구를 추진할 것임.
○ 연구내용
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른 문제점들을 예상하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면밀하게 세워 나간다면 다가오는 정보사회를 슬기롭게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정보와 관련된 윤리적인 새로운 가치 규범을 정립하여 사회구성원 모두가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정보윤리의 정립 방향을 모색해 보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연구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1. 서론
2. 21세기 한국의 정보사회
3.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
4. 정보사회의 예상되는 문제점들
5. 정보제공자들의 책임과 역할 모색
6. 결론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I. 서론
II. 21세기 한국의 정보사회
1. 정보사회의 도래
2. 정보사회의 개념과 특징
III. 새로운 규범의 필요성
1. 인터넷 이용의 생활화
2. 삶의 질의 향상
3. 가상공동체의 출현과 새로운 인간관계
IV. 정보사회의 예상되는 문제점들
1. 사생활(privacy) 침해
2. 음란정보의 유출
3. 온라인 사기
4. 컴퓨터 바이러스 유포
5. 해킹
6. 지적 재산권 침해
7. 사이버 명예훼손
8. 비인간화
V. 정보제공자들의 책임과 역할 모색
1. 민사책임
2. 공법상의 책임
VI. 결론
|
연구결과 |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았고, 참고문헌을 구입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정보사회의 예상되는 문제점들을 밝혀내었고, 정보제공자, 즉 사업자들의 책임과 역할을 구안해 보았고, 결론으로 인터넷 이용자들이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을 마련해 보았음.
|
참고문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