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11
연구과제명
  • 국문 : 世界化過程에서의 文明葛藤說에 대한 批評的 硏究 ㅡS. P. Huntington의 문명이론을 중심으로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양명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3-01 ~ 1999-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양극 중심의 냉전체제가 무너진 이래 세계는 급격한 변화의 과정을 거치며 새로운 질서를 모색해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날로 가시화되어가는 국제권력구조의 개편, 탈현대주의 사조의 등장, 과학기술의 발전 등 정치 · 철학 · 사회 · 경제 · 기술 등 여러 분야에 걸친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 상관작용 속에서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전자 통신기술의 급속한 진보를 바탕으로 정보화시대가 열리면서 국제사회는 한층 상호 의존적이고 다차원적인 구조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전의 질서와 규범이 지니고 있던 타당성과 적실성이 빛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인류는 새로운 가치와 질서를 찾고 있다. 종래의 국제 정치이론들에 대한 회의가 일면서 새로운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시도도 활발하다.
   이 연구는, 1990년대 전반에 제기된 헌팅턴(Samuel P. Huntington)의 文明葛藤說과 이를 둘러싸고 전개된 학계의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재검토하여, 새로운 국제사회의 구도를 전망하는 하나의 이론적 근거를 추출하는 동시에 새로운 국제질서 속에서 평화와 안정의 기틀을 확보하고 세계문화의 발전에 이바지하려는 우리나라의 세계화정책에 대한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문헌연구 (내용분석 및 종합)
   · 의견교환 및 토론
   · 연구발표회 (중간 및 결과)

 

○ 연구내용
   - 세계질서의 변화 및 새 질서 형성의 동인들 (경과와 추이, 주요국가들의 정책, 상호간의 갈등 · 협력요인)
   - 문명갈등설 및 기타 문명이론에 관한 재고찰
   - 주요 반론 및 비평들(문명융화설)에 대한 재검토
   - 이론(예견)과 현실(추세)의 상관성 검토
   - 한국의 세계화정책에 관련한 함의(전망과 대응)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원래의 계획 및 구상과 크게 다름없이 수행되었으며, 각장의 소제목 및 일부분(비평적 검토)의 구성을 수정하였음.

 

   1. 새로운 세계

   2. 문명의 충돌

   3. 서방문명과 유교-이슬람문명

   4. 왜 문명인가? - 헌팅턴의 동기

   5. 문명충돌설의 한계:

      -문명인가 국가인가?
      -
문명은 반드시 부딪히는가?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