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10
연구과제명
  • 국문 : 단일민족의식의 위기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영훈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5-01 ~ 1999-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오랫동안 한민족 성원을 하나의 동질적 공동운명체로 묶어오던 단군의 자손으로의 단일 민족의식은 오늘날 중대한 위기에 봉착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증되지 않는 것은 거부하는 실증주의-합리주의 사고가 지식계에 팽배되어 있고, 민족주의를 극복되어져야 할 사상으로 간주하는 개인주의-세계주의 세계관이 확산되고 있으며, 단일민족의식이 현하 국가위기를 극복하고 21세기로 나아가는 데에도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는 비판마저 제기되고 있다. 단일민족의식은 그동안 한민족이 사상-계급-지역-이해관계를 초월하여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돼야 한다는 당위성과 가능성의 근거가 되어왔던 바, 이 단일민족의식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고 현재 어떤 상황에 놓여있으며 현대적 의미는 무엇인지 하는 것을 살피는 작업은 학문적으로도 의미있는 연구주제이지만, 민족적 과제들을 염두에 둘 때 실천적으로도 중요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 속에서 단일민족의식이 형성돼온 과정과 오늘날 처하고 있는 상황을 진단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세계화-다원화 시대에 걸맞는 민족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제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1. '단일민족'의 개념과 의미를 여러 용례들을 찾아서 분석하되, 단군의 자손 - 공동운명체의식에 초점을 두어 그 형성과정을 추적한다.
   2. 최근의 제2건국론에 나타난 단일민족의식탈피론을 비롯하여 단일민족의식을 비판하는 사례들을 조사하여 입장을 분석한다.
   3. 민족주의-민족의식의 본질과 현대적 의의에 대한 연구가들의 논의를 참고하되, 민족주의-단일민족의식은 21세기 다원화-세계화시대에도 필요한 것이라는 입장에 서서 논의를 전개한다.
   4. 북한에서의 단일민족론에 대해서도 그 논거와 추이를 북한 측의 문건을 분석하여 살핀다.

 

○ 연구내용
   1. '단일민족'의 개념 ;
      '단일민족'의 개념
      ✳ '단일민족'의 의미와 근거에 대한 다양한 이해방식
      ✳ 단일민족의 근저에 '단군의자손' 의식이 자리하고 있다고 보는 이유
   2. 한국에서의 단일민족의식의 형성과정 ;
      ✳ 한국사 속에서 '단군의 자손'으로의 단일민족의식이 형성되어온 과정
      ✳ 단일민족의식이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기여한 역할
   3. 오늘날 단일민족의식이 처하고 있는 상황진단 ;
      ✳ 단일민족의식에 대한 도전 양상
      ✳ 단일민족의식의 잔류현황 추정
      ✳ 단일민족의식이 약화되어가는 이유와 전망
      ✳ 북한에서의 단일민족론
   4. 단일민족의식이 가지는 의의 ;
      ✳ 21세기의 민족적-국가적-사회적 과제들
      ✳ 단일민족의식이 가지는 의의
      ✳ 세계화-다원화시대의 민족정체성 형성방향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머리말

2. 단일민족의식 반대론의 논리

3. 단일민족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4. 단일민족의식의 유래

5. 단일민족의식의 의의와 전망

6. 맺음말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