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1999-개인과제-1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정영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1999-05-01 ~ 1999-12-15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 오랫동안 한민족 성원을 하나의 동질적 공동운명체로 묶어오던 단군의 자손으로의 단일 민족의식은 오늘날 중대한 위기에 봉착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증되지 않는 것은 거부하는 실증주의-합리주의 사고가 지식계에 팽배되어 있고, 민족주의를 극복되어져야 할 사상으로 간주하는 개인주의-세계주의 세계관이 확산되고 있으며, 단일민족의식이 현하 국가위기를 극복하고 21세기로 나아가는 데에도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는 비판마저 제기되고 있다. 단일민족의식은 그동안 한민족이 사상-계급-지역-이해관계를 초월하여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돼야 한다는 당위성과 가능성의 근거가 되어왔던 바, 이 단일민족의식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고 현재 어떤 상황에 놓여있으며 현대적 의미는 무엇인지 하는 것을 살피는 작업은 학문적으로도 의미있는 연구주제이지만, 민족적 과제들을 염두에 둘 때 실천적으로도 중요한 사안이 아닐 수 없다는 생각이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 속에서 단일민족의식이 형성돼온 과정과 오늘날 처하고 있는 상황을 진단하고, 그것이 가지는 의의를 세계화-다원화 시대에 걸맞는 민족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제와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1. 머리말 2. 단일민족의식 반대론의 논리 3. 단일민족론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4. 단일민족의식의 유래 5. 단일민족의식의 의의와 전망 6. 맺음말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