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모노그래프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4
연구과제명
  • 국문 : 성찰적 근대화와 공동체주의 ㅡ“위험사회론”의 비판과 대안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영은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1-01 ~ 1999-12-31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정신문화는 지난 한 세기 동안 급격한 사회변동, 특히 서구를 중심으로 하는 외래적 문화의 영향 아래에서 근대화를 경험하였다. 특히 근대화는 한편으로는 엄청난 위험요소를 내재시켰고 공동체적 결합력을 와해시켰고 전통적 정신문화에 대한 왜곡을 초래하기는 했으나, 그러나 다른 한편에는 그것은 여전히 새로운 사회현실에 대한 "기획"으로 힘을 발휘하고 있으며 적실성을 지니고 있다. 근대화는 이른바 새로운 세기를 맞이하여 여전히 팽배한 우연성(비결정성)과 새로운 '가능성'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상적 원천을 발굴하여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정신사적 유산으로부터 새로운 "사회적 힘"을 찾아내는 일은 동양의 정신문화는 현재 재발견과 재해석의 소재가 되고 있으며 또한 심도있는 성찰을 가능케 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별히 최근에 논의되는 공동체주의를 한국의 전통적 정신사의 맥락에서 성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연구

 

○ 연구내용
   1. 공동체 담론과 공동체주의
   2. 한말일제시기의 공동체적 관념: 민족주의와 국가주의
   3. 근대화의 전개와 공동체적 결합의 변화: "새마을 운동"의 재해석
   4. 근대화의 딜레마: 좌절과 기획의 중간에서
   5. 탈근대성과 성찰적 근대화
   6. 극복: 공동체주의와 한국의 정신문화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 서   론

. 근대화 비판

   1. “위험사회와 불투명성

   2. “불편불평”: 대타자의 부재

   3. “영원한 자본주의”: 추상보편성의 지배

   4. 성찰성의 명암

. 출구: 공동체적 구성주의

   1. 자유주의와의 논쟁

   2. 공동체 담론과 구성주의

. 결   론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