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6
연구과제명
  • 국문 : 大人之學의 敎育學的 含議 ㅡ전통교육의 담론구조로서의 대인지학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계학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5-18 ~ 1999-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大人의 교육원리를 제시하고 있는 『大學』을 교육학적인 안목에서 분석해 보고, 그것이 『小學』과는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大人之學이 함의하고 있는 敎育學的인 意味와 價値가 어디에 있는지를 구명해 보고자 한다.

 

○ 연구배경
   1980년 후반부터 본원 대학원에서 「한국교육사상사」를 강의해 오면서 한국교육사상의 근간을 이루어 오고 있는 선진유가와 성리학파의 교학사상, 그리고 양명학파의 교학사상을 연구하였다. 이를 계기로 선진유가의 교학사상에서는 군자교육의 방법적 원리로서 효교육 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성리학파의 교학사상에서는 군자교육의 방법적 원리로서의 퇴계의 敬사상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양명학파의 교학사상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하여 왕양명의 교학사상을 연구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성리학파와 양명학파의 교학사상은 대인지학의 방법적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 格物致知說에 대한 해석에 그 결별점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현대 교육이론에서 생경한 소인지학과 대인지학이 어떻게 다른 것이며, 대인지학의 목표와 방법적 원리, 그리고 교육내용을 분석적으로 살펴 「대학」장구의 해석상에 문제에 따라 대인지학의 방법적 원리와 교육 내용이 어떻게 그 맥을 달리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나서 대인지학에 대한 상이한 해석상의 논리적인 假定에 따른 교육학적인 의미와 가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대인지학이 아니라 전문직업인의 양성으로 전락해 가고 있는 현대의 대학교육에서 대인지학의 교학사상이 어떠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교육학적인 관점에서 문헌을 중심으로 한 텍스트 읽기가 주된 연구방법이 될 것이다.

 

○ 연구내용
   사서중의 하나인 「大學」은 유가의 교학사상에 기초하여 大人敎育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 고전이다. 「대학」은 「소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지만 소인지학과 대인지학의 원리는 판이하게 성격이 다른 교육으로서 유가의 전통적인 대인교육론이다. 즉 소인과는 품격이 다른 대인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와, 방법적 원리, 그리고 내용을 시사하고 있는 대인지학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 고전이다. 그러므로 전문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현대의 대학교육과는 그 패러다임을 달리하고 있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대인지학의 교육원리를 현대의 교육학 이론에 비추어 분석해 보고, 주자학의 대인교육론과 양명학의 대인교육론의 결별점을 확인하며, 그들이 결별하게 되는 논리적인 가정이 어떠한 교육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니게 되는지를 논의하고 나서 현대의 교육학적인 안목에서 대인지학의 원리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끝으로 인문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현대의 우리 대학교육에서 동양의 전통적인 대인지학의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유가의 공부는 인간이 慾望을 배경으로 性情을 논했으며, 성정의 규율과 배치가 배움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慾望에서 자유로운 자가 되는 것이 최대의 목표였다. 대인지학의 방법론으로서의 격물치지는 格物을 통해 致知, 致知를 통해 存在態를 고양시키는 활동이며, 내적으로는 慾望 구도의 중화선을 유지하려는 팽팽한 접점을 경을 통하여 실현시켜 놓았다. 格物致知, 구체적으로는 居敬窮理를 통한 물리와 사리와 인리가 하나됨을 궁극적으로 이륙하는 것이 豁然貫通(초월의 과정)을 통해서이다. 이에 따르면 陽明보다 朱子敎學思想佛家의 교학사상에 가깝다고 하겠으며, 物學中心의 현대 大學敎育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대인지학의 心學的인 패러다임과 調和를 이루어야 하겠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과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