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3
연구과제명
  • 국문 : 동서윤리학 비교연구 – 도덕인식론과 도덕정당화론
  • 영문 : -
연구책임자 도성달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1-01 ~ 1999-12-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 윤리학의 중심 테마는 도덕인식론, 도덕행위론, 도덕성의 정당화에 대한 도덕철학적 논구이다. 서양윤리학은 도덕적 진리란 무엇이며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도덕적 인식론에 대한 탐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도덕성의 구성요건으로서 도덕지식을 일차적 요소로 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이래의 서양윤리학이 "지식이 곧 덕이다"라는 이성주의 윤리관을 견지하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이런 이유로 서양윤리학은 도덕성에서 도덕적 사유능력을 도덕지식의 전제로 인식한다. 그런가 하면 유가윤리는 도덕행위론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천도덕'이며 '도덕적 언명의 체계'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이런 인식의 이면에는 유가윤리는 도덕인식론이나 정당화론에 대한 도덕철학적 사유가 결핍되고 있다는 생각을 드러내고 있는 것 같다. 과연 유가윤리는 윤리학 곧 도덕철학으로서 자리매김 될 수 없는가
   - 동서윤리관의 비교연구에 관한 기존의 연구물들이 단편적이고 피상적 서술에 그친 것은 비교분석의 틀이 분명치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유가윤리를 도덕철학적 위치에서 서양윤리학의 관점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동서윤리의 비교 분석적 틀을 제시하기 위한 시론적 탐색이다.

 

○ 연구배경
   - 한국인의 지배적 윤리관으로서 유교적 전통윤리는 오늘날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유교적 도덕규범에 대한 실제적 준수여부만으로는 적절치 못하다. 도덕행위는 기존의 도덕규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태도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교윤리의 도덕적 권위를 내재적으로 수용하느냐 않느냐 하는 점도 따져보아야 한다. 만약 우리가 유교적 도덕규범을 반성적 도덕의 관점에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한국사회에서 유교윤리는 도덕규범으로서 작동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사회의 도덕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전통윤리의 재정립을 주장하는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유교적 도덕규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도덕적 옳음의 근본원리, 도덕적임, 도덕적 이유 등 도덕인식론과 그 정당화 논변에 대한 유가의 도덕철학적 사유체계를 이해하는 일이 우선이다. 이러한 사유를 바탕으로 할 때 도덕규칙이나 도덕적 언명들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그래야만 반성적 도덕으로서 유가윤리는 적실성을 지니게 된다.
   - 본 연구의 일차적 관심은 도덕인식론과 도덕성 정당화론에서 본 유가윤리와 서양윤리의 유사성과 차별성 규명에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유가윤리의 도덕철학적 체계를 정립하려는 시도에 있다. 이런 연구가 제대로 수행되려면 동서 윤리학에 두루 정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존의 동서윤리 비교연구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도 연구자들의 학문적 한계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도 이러한 한계를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그러나 연구에 있어서 보다 중요한 것은 문제의시기다. 오늘날 전 세계를 풍미하고 있는 공리주의적 윤리관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유가의 도덕철학적 사유에 대한 인식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연구내용
   0 도덕적 진리에 대한 인식론
      - 개인적 차원의 도덕 / 사회적 차원의 윤리
      - 도덕적 옳음의 의미와 근거
      - 도덕적 진리는 인식될 수 있는가
      - '자연주의적 오류'에 대한 인식의 차이
   0 도덕적 지식과 실천론
      - 도덕성의 구성요건으로서 도덕지식
      - 도덕지식과 행위의 관계
      - 덕의 윤리와 의무(법칙)의 윤리는 구분될 수 있는가
      - 인성론의 실천론적 의미
   0 도덕성의 정당화론: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 도덕적임의 본질에 대한 인식
      - 자아실현의 원리로서 도덕
      - 공동선 실현의 원리로서 도덕
      - 법칙론적 의무론 / 존재론적 의무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 유가윤리의 도덕성 개념은 내재론이고 서양윤리는 내재론과 외재론으로 양분된다. 내재론적 도덕관은 인간본성의 실현이라는 도덕적 이상주의를 지향하게 마련이다. 도덕적 이상주의는 도덕적 이념과는 무관하게 형식과 외형을 추구하는 형식주의로 전락할 수 있는 내재적 한계가 있다.

   - 서양윤리의 도덕적 추론은 목적론적 윤리체계와 의무론적 윤리에 차이가 있다. 전자는 유용성이라는 결과론을, 후자는 보편화가능성이라는 동기론이다. 반면 유가윤리는 추기급인의 원리인 바, 이는 서양의 동기론과 일맥 유사하면서도 도덕주체의 덕성을 우선시한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 유가윤리에서 도덕적 앎의 의미는 지+행으로서 후자에 중점이 있고, 서양윤리는 도덕적 사유와 추론을 중시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