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9-개인과제-2
연구과제명
  • 국문 : 『易經』의 '生生'의 의미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경일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9-01-01 ~ 1999-12-15 연구형태 문헌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20세기는 과학기술, 정보시대로서 과학기술의 발전이 산업화를 이루면서 가져온 결과는 긍정적인 측면 못지 않게 부정적인 측면으로서 생태적 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 앞으로의 세기는 정보기술시대를 거쳐 바이오기술시대로 전개되면서 자연과 生命이 새로운 중심가치들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그것은 데카르트와 뉴턴의 기계론적 세계관에서 전체론적 생태적 세계관으로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세계를 서로 분리된 부분들의 집합이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어 있는 전체로 보는 유기체적이며 전체론적 세계관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양의 오랜 우주철학으로서의 易經의 生生의 의미를 乾坤괘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인간과 자연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유기체적 존재임을 밝혀, 바이오기술시대의 한 대안을 서론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지금까지의 서구의 기술과학사상은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에서 연원되어 그 문제해결도 역시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모색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러 측면에서 시론으로서 不備할 것이나 동양철학의 관점에서 서양과학사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 연구내용
   1. 서 론
   2. 20C의 문화적 맥락
      1) 20C의 위기상황
      2) 인식의 전환
      3) 우주경영철학으로서의 『易經』
   3. 乾坤괘에 나타난 '生生'의 이해
      1) 乾卦의 '生生'의 의미
      2) 坤卦의 '生生'의 의미
      3) 乾坤卦의 錯綜관계
   4. 乾坤의 有機體的 논리
      1) 陰陽對待의 논리
      2) 陰陽循環의 논리
      3) 變通의 논리
   5. 결 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乾과 坤 즉 天과 地는 陽과 陰으로 각각 설명할 수 있는데, 이들의 관계는 서로 간에 혼자서만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간에 相求相應하는 관계로 成象效法하는 가운데 成列而易하니 그 가운데 生生不息하는 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게 된다. 그 가운데 天地人 三才에 속하는 인간은 건계사에 本乎天者親上하고 本乎地者親下하여 則各從其類고 하듯이, 우리 인간이 환경생태의 순환관계에 속해 있으면서 먹이연쇄의 상관성을 파괴시키지 않고 각각의 개체의 존재성과 그 가치를 인정하여 서로 간에 保合大和하여 相求相應한다면, 生生不息하는 역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여 生生不息이 되어질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