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8-교육윤리-4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교육문제의 사회문화적 구조(1) ㅡ과잉 교육열을 중심으로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오만석
공동연구자
  • 박남기 / 광주교육대학교 / 교수
  • 이길상 / 본원 / 교수
  • 이종각 / 춘천대학교 / 교수
  • 최봉영 / 항공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8-03-20 ~ 1999-05-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현재 한국교육은 과열 입시 경쟁으로 인한 시험중심 교육, 과잉 교육열, 비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 열악한 교육재정 및 환경, 학습 부적응 학생들의 비정상적인 조기유학, 과도한 사교육비의 지출 등 여러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교육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과거 여러 차례의 크고 작은 교육개혁을 시도해왔으나, 교육문제의 사회 ·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 및 반영을 소홀히 한 제도적 개혁의 수준에 머물러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교육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교육열을 중심으로 이의 사회문화적 구조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2000년대 한국교육의 세계화와 선진화를 위한 근본적인 교육개혁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배경
   지금까지 한국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입시중심 교육, 과열과외, 과도한 치맛바람, 과잉교육열, 관주도의 교육행정, 조령모개의 교육정책, 재수생 문제, 교육의 정치적 도구화 등 수없이 많다. 이러한 교육의 문제들은 현재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침전물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구조의 반영들이며, 이러한 구조는 그것이 침전되고, 결합되고, 결합되고, 변용된 역사적 맥락에서 분석될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문제의 가장 심층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과잉 교육열의 문제는 우리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학력주의 관행, 입신출세를 지향하는 자녀교육관,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을 신분상승의 강력한 도구로 보는 도구주의 교육관의 만연과 같은 사회의식이 바탕이 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경쟁을 부추기는 과열경쟁구조의 교육은 이를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교육개혁에서 이 문제가 지적되고, 이의 극복이 강조되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 교육 문제의 핵심부에 자리하고 있는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구조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일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교육개혁심의회, 교육개혁의 과제와 교육관, 교육개혁심의회 세미나 보고서, 1986.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고찰," 교육학 연구, 32권 5호, 1994.
   ✳ 이종각, 한국교육과 사회학적 분석, 강원대 교육학과, 1988.
   ✳ 안귀덕 등, 한국 근현대 교육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허   숙 등, 교육현상의 재개념화, 서울: 교육과학사, 1977.
   ✳ 오만석 등, 한국교육개혁의 종합적 평가,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Slattery, P.,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Postmodern Era, Garland Publishing, Inc., 1995.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문헌 및 자료조사
   워크샵

 

○ 연구내용
   (1) 교육열의 역사적 전개 양상
   (2) 입시정책의 변화와 교육열
   (3) 한국의 사회변동과 교육열의 변화 양상
   (4) 교육경쟁구조와 교육열
   (5) 교육열의 교육정책적 함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이 연구의 1차년도의 관심은 교육열에 대한 의미의 개념적 체계화, 교육열 형성의 역사적 배경, 현대 한국 사회문화적 구조와의 관련성, 관련제도· 정책과의 관계 등의 분석에 있었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Ⅰ. 교육열에 대한 재개념화

   Ⅱ. 교육열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

   Ⅲ. 현대 한국의 교육문화와 교육열

   Ⅳ. 입시제도와 교육열

   Ⅴ. 교육열 개념 모형에 터한 과열 과외 정책 분석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