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현재 한국교육은 과열 입시 경쟁으로 인한 시험중심 교육, 과잉 교육열, 비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 열악한 교육재정 및 환경, 학습 부적응 학생들의 비정상적인 조기유학, 과도한 사교육비의 지출 등 여러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교육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과거 여러 차례의 크고 작은 교육개혁을 시도해왔으나, 교육문제의 사회 · 문화적 배경에 대한 분석 및 반영을 소홀히 한 제도적 개혁의 수준에 머물러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현재 한국교육이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들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교육열을 중심으로 이의 사회문화적 구조를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2000년대 한국교육의 세계화와 선진화를 위한 근본적인 교육개혁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배경
지금까지 한국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입시중심 교육, 과열과외, 과도한 치맛바람, 과잉교육열, 관주도의 교육행정, 조령모개의 교육정책, 재수생 문제, 교육의 정치적 도구화 등 수없이 많다. 이러한 교육의 문제들은 현재 한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침전물이라고 할 수 있는 사회문화적 구조의 반영들이며, 이러한 구조는 그것이 침전되고, 결합되고, 결합되고, 변용된 역사적 맥락에서 분석될 수 있다.
우리나라 교육문제의 가장 심층적이고, 핵심적인 문제라고 할 수 있는 과잉 교육열의 문제는 우리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학력주의 관행, 입신출세를 지향하는 자녀교육관, 급격한 사회 변화에 따라 교육을 신분상승의 강력한 도구로 보는 도구주의 교육관의 만연과 같은 사회의식이 바탕이 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경쟁을 부추기는 과열경쟁구조의 교육은 이를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지금까지 여러 차례의 교육개혁에서 이 문제가 지적되고, 이의 극복이 강조되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은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 한국 교육 문제의 핵심부에 자리하고 있는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구조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이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의 일부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교육개혁심의회, 교육개혁의 과제와 교육관, 교육개혁심의회 세미나 보고서, 1986.
✳ 한국교육개발원,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3.
✳ 박남기, "한국인의 교육열 이해를 위한 대안적 고찰," 교육학 연구, 32권 5호, 1994.
✳ 이종각, 한국교육과 사회학적 분석, 강원대 교육학과, 1988.
✳ 안귀덕 등, 한국 근현대 교육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허 숙 등, 교육현상의 재개념화, 서울: 교육과학사, 1977.
✳ 오만석 등, 한국교육개혁의 종합적 평가,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 Slattery, P.,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Postmodern Era, Garland Publishing, Inc., 1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