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8-교육윤리-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청소년문화: 비교문화적 분석
  • 영문 : -
연구책임자 안귀덕
공동연구자
  • 황정규 / 서울대학교 / 교수
  • 김광웅 / 숙명여자대학교 / 교수
  • 김경성 / 서울교육대학교 / 부교수
연구기간 1998-01-01 ~ 1998-12-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연구목적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문화의 특징을 보다 심도있게 파악하기 위해, 청소년문화에 대한 제1,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른 나라(미국, 일본, 중국)에 거주하는 한민족 청소년과 비교문화적으로 분석하고자 의도한다. 이러한 연구분석을 통하여 동서양의 국가들의 문화가 청소년문화에 미치는 영향의 파악과 함께 한국 청소년문화와의 차이와 공통점, 또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같은 핏줄을 가진 청소년들이 문화를 달리함으로써 그들의 사고와 가치관 그리고 생활 패턴들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은 재외 동포 교육에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 연구배경
   한국 청소년문화의 고유한 특징과 세계 청소년문화의 공통성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동서양 3개국 청소년문화의 특징과 비교하고자 한다. 즉 한국과 역사적 ·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일본, 중국, 미국의 청소년문화와 한국 청소년문화를 비교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한다. 다른 나라의 청소년문화와의 평면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각국의 청소년문화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형성 · 발전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청소년문화를 다차원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제비교 연구의 결과는 가능하면 영어로 출판하여 세계에 보급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 연구방법
   현지조사연구 · 국제비교연구의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분석방법을 도입하여, 한국 청소년문화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즉 변인간의 관계 검증을 위한 양적이고 통계적인 분석방법뿐만 아니라, 면접 등을 통한 질적인 분석방법도 모두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양한 분석방법은 한국 청소년문화에 대한 보다 심도있는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가. 測定道具
      기존의 한국어판 측정도구를 영어 · 일어 · 중국어로 번역하여 외국어판 측정도구를 제작한다.
   나. 標集對象
      표집대상은 한국, 일본, 중국과 미국으로 하며 한국 청소년들의 표집은 기존의 연구결과를 활용한다. 이들 외국은 우리 교민들이 가장 많이 살고 있으며 한민족 출신의 청소년들에 대한 표집이 가능하고 한국 청소년 문화와 비교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다. 實施 方法
      각 국가별로 현지 연구자를 위촉하고 이들과 함께 질문지를 번역하는 작업을 공동으로 한다. 각국의 공동연구자들은 소속한 국가에서 질문지를 번역하고, 표본설계하여 질문지를 실시하고 회수하는 등의 일에 책임을 갖고 역할을 분담한다.
   라. 分析 方法
      회수한 자료에 대해 응답을 빠뜨린 문항 등 應答의 誠實性 여부를 확인한 뒤 최종분석 대상 자료를 결정한다. 분석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접근한다. 첫째는 변인간의 관계검증을 위한 양적인 분석방법(t-검증, X2 검증, 중다회귀분석, 요인분석, MDS, MANOVA 등)을 활용한다. 둘째는 심층적이고 질적인 분석방법으로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 자료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통해 양적인 통계분석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질적인 내용들을 밝혀내고자 한다.

 

○ 연구내용
   이 연구에서 다루려는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한국 및 일본, 중국, 미국에 거주하는 한민족 청소년들의 문화실상을 특히 청소년의 의식구조, 가치관, 정신건강, 생활공간의 네 측면에서 파악한다. 둘째 청소년문화의 특징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한국 청소년 문화의 고유한 특징과 세계 청소년문화의 공통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국제 사회 내에서의 한국 청소년문화의 위상을 정립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를 제작한다.

 

   이상의 연구 내용들을 다음과 같은 〈目次〉로 구성하여 다루고자 한다.
   제I장. 서론
   제II장. 연구변인과 조사도구
   제III장. 청소년의 정신건강 비교
   제IV장. 청소년의 가치관 비교
   제V장. 청소년의 의식구조 비교
   제VI장.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일탈행동 비교
   제VII장. 요약 및 결론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이 연구는 한국 · 일본 · 중국 · 미국에서 생활하는 재외 한인 청소년의 문화를 비교문화적 시각에서 비교분석하려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민족과 종족이 같은 청소년 사이에 존재하는 공통된 문화적 보편성과 문화적 변이 내용을 탐색하려 하였다. 조사내용은 청소년의 정신건강 · 가치관 · 의식구조 ·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재일 · 재미 · 재중 거주 한인 청소년들이었다.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서장과 연구변인과 조사도구, 청소년의 정신건강, 가치관, 의식구조, 일탈행동을 비교분석하였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