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과제코드 |
1998-정치경제-5 |
연구과제명 |
|
연구책임자 |
정윤재 |
공동연구자 |
- 김영수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 정박, 책임연구원
- 김석근 / 고려대학교 아시아문제연구소 / 정박, 책임연구원
- 한규선 / 국정원 통일정책연구소 / 정박, 연구위원
- 정영훈 / 본원 / 정박, 부교수
|
연구기간 |
1998-01-01 ~ 1999-06-15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정치사상들을 전환기에 처한 정치사상가들 혹은 정치지도자들의 이상국가관, 상황인식,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처방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치사상가들의 사상에 대한 이해를 정치, 사회적 맥락과 함게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연구배경
- 지금까지 한국의 정치사상은 주로 개인의 전기적 연구 차원에서 이루어지거나 철학적 내용분석과 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
- 그 결과 특정 정치사상가나 정치지도자가 처했던 정치사회적 상황과 상황타개를 위한 문제해결적 노력을 고려하는 정치사상연구는 비교적 소홀히 되어왔음.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조선시대와 근현대의 주요전환기마다 동일한 시대에 활동했던 인물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정치사상을 시대적 맥락과 함께 비교분석할 것임.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정치사상의 내용은 이상국가관(비젼), 상황인식과 설명(진단), 그리고 문제해결과 이상실천을 위한 처방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Spragens, 1976; 이종은, 1991; 정윤재, 1993), 이것을 정치사상연구의 분석틀로 사용함.
- 각 연구자는 주요전환기에 대조적인 사상과 행동을 보여주었던 2인의 인물을 선정해서 비교연구함.
- 해당 인물에 대한 기존의 연구업적들을 두루 활용함.
○ 연구내용
1. 서론: 문제제기와 연구방법
2. 여말선초의 정치사상: 이색과 정도전의 비교
3. 선말기의 정치사상: 최익현과 김옥균의 비교
4. 식민지시대의 정치사상: 신채호와 이광수의 비교
5. 해방정국의 정치사상: 이승만과 박헌영의 비교
6. 결론: 요약 및 평가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자아준거적 정치학"과 한국정치사상 연구
▨ 이색과 정도전의 정치사상
▨ 최익현과 김옥균의 정치사상
▨ 신채호와 이광수의 정치사상
▨ 박헌영과 이승만의 정치사상
|
연구결과 |
- 당초의 연구계획에 의거하여 “문제해결적 접근방법”을 정립하여 제시하였고,
- 각 연구자는 이를 적절히 적용하여, 이색과 정도전(여말선초), 최익현과 김옥균(선말), 신채호와 이광수(식민지시기), 박헌영과 이승만(해방정국)의 정치사상을 비교분석, 평가하였음.
- 필자에 따라 이상국가론과 관련된 이론적 관점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경우도 있고, 3가지의 분석범주에 따라 연구한 경우도 있어, 각기 연구대상의 특성을 나름대로 살렸음.
|
참고문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