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8-예술-2
연구과제명
  • 국문 : 漢文 讀書聲(聲讀)의 音樂的 硏究(1)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8-01-01 ~ 1999-09-1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현전 한국 전통음악에는 사대부 등 전통사회 지배계층의 음악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다만, 기생 등 전문 음악인의 연주곡목 속에 송서(誦書), 시창(詩唱) 등 전통사회 지식인의 감상 대상이었던 종목이 남아 있다. 이들 장르는 모두 전통사회에서 서당 등의 한문교육 과정에서 있었던 성독(독서성)이 전문예능인에 의하여 세련되게 다듬어져 예술장르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인 한문 교육 과정에서 암송이나 낭송의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한문 성독은 음악적인 요소가 강한 문화행위의 하나로, 이들 성독이 음악전문가에 의하여 송서 · 시창 등으로 발전한 것으로 추정되는 바, 송서나 시창도 지역적인 특성이 강하게 드러날 것으로 예견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은 민요권에 따라 드러나는 지역적 토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을 것이다.
   그동안 민속음악의 지역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하여 주로 평민예술인 향토민요(토속민요)나 전문가의 음악인 무속음악에 관심을 두었으나, 사대부 등 지배계층의 세련된 문화행위에도 이와 같은 지역적 특성이 드러나는지는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
   이에 현전하는 한문독서성을 채록 · 채보하여 지역적 특성을 밝히고, 전통음악의 한 부분인 송서, 시창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전통사회 사대부 음악문화를 연구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1차 목적이며, 나아가 기층민중뿐만 아니라 지배계층의 음악문화에서도 지역적 특징이 드러나는지도 함께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배경
   그간 한국음악학계의 연구성과의 하나로 민속음악의 지역적 특징이 밝혀진 바 있고, 이를 민요권별로 구분하여 각 지방의 토리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민요권별 음악양식의 특징은 향토민요나 무속음악을 중심으로 조사 · 연구된 결과이며, 이들 음악 장르는 기층문화에 속하는 것이다. 아울러 현전 한국전통음악에는 중중음악이나 민간의 풍류음악, 그리고 기층의 향토음악만 존재하였지, 양반 · 사대부의 음악행위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 없다.
   본원에서는 조선시대 의례자료연구의 일환으로 종묘나 문묘제례 및 각 지방 향교의 제례의식에서 일종의 구호(口號)로 불리는 창홀(唱笏)’에 관한 음악적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순한문으로 된 홀기를 대중이 들을 수 있도록 큰 소리로 외치는 준 음악적 행위의 하나인 창홀성이 음고와 음장 및 기타 음악적 요소를 갖춘 음악행위의 하나이며, 지역에 따라 선율과 리듬에 큰 차이점이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그렇다면 전통사회의 한문교육 과정에서 암송의 수단이었던 성독(聲讀)이나 한시의 낭송행위도 음악의 하나이며, 사대부 음악이 남아 전하지 않는 현실에서, 전통사회 사대부의 음악행위와 음악사상을 엿볼 수 있는 유일한 자료가 한문의 성독이라 생각한다.

 

   이에 각 지방의 한문 독서성을 채록 · 채보하고 이를 비교 · 분석하여 전통사회의 지배계층인 사대부 음악문화를 연구하고, 기왕 독서성에서 발아되어 전문예능인의 음악장르로 정착된 송서 및 시창과의 비교연구도 수행하여 상층문화가 전문예능인의 문화로 전이 · 발전되는 과정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현지를 방문하여 조사 · 채록하는 현지조사 방법
   2. 청각적 인지에 의한 채보 및 분석
   3. 타 자료와의 비교 · 분석 방법

 

연구내용
   1. 3개년 연구작업 중 제1차년도인 1998년에는 경기 · 강원 · 영남지방을 조사대상으로 함.
   2. 각 권역별로 2개 지역을 현지조사하여 원로 한학자를 대상으로 녹음 · 녹화함.
   3. 채록된 자료를 녹취 및 채보하여 분석함.
   4. 채록대상 종목은 다음과 같다.
      천자문 훈독과 성독
      한문 성독(사서 중 하나)
      당음(5언 및 7)
      기타 한글소설 등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한문 독서성의 정의
2. 연구의 필요성
3. 연구의 대상 및 방법
4. 현장조사 결과의 개관
5. 조사자료의 분석
   가. 템포(tempo)
   나. 음역(register)
   다. 음조직(tonal system)
   라. 리듬(rhythm)
6. 조사 · 연구작업의 후속 계획
7. 참고자료
   · 1차년도 독서성 채록자료 분석표
   · 독서성 원문자료1: 토를 달지 않은 원문자료
   · 독서성 원문자료1: 독서성 지역별 비교자료
   · 한문 독서성 조사 카드(제보자 인적사항)

연구결과

영남, 강원, 경기 등 3개 지역의 독서성을 채록·분석하였음.

 

   - 분석 원고 A4 27

   - 참고 자료 A4 16

   - 채보 악보 104

 

   (자세한 내용은 원고 별첨함)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