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8-역사-1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 자유주의의 역사적 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권희영
공동연구자
  • 김도형 / 계명대학교 / 교수
  • 박만규 / 전남대학교 / 교수
  • 박찬승 / 목포대학교 / 조교수
연구기간 1998-01-01 ~ 1998-12-14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자유주의는 한국근대사의 이해를 위하여 대단히 중요한 연구주제가 된다. 그 이유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 정치적으로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채택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 근현대 삶과 문화가 자유주의적인 가치를 기본적으로 신봉하는 양식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유주의 이러한 상대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의 자유주의에 대한 연사적 연구는 그동안 한국 역사학에서 주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민족이나 혹은 계급과 같은 파라다임에 가려져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학문적 성과가 한국의 근대사를 주로 민족주의의 전개과정 혹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대립과정으로 묘사하는데 이는 한국의 집체적 성격을 일방적으로 강조하고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였지만 한국 사회에서 개인이 누리고 있는 삶의 모습을 연구하는 데에는 다소 등한하게 하였다.
   한국자유주의의 역사적 연구는 한국근대화의 과정을 자유주의의 전개과정 혹은 자유주의적 노력이 전통적인 관념 혹은 다른 유형의 관념들과 어떻게 상호관계하면서 한국 근대화가 지향해야 하는 중심적인 가치로 정착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을 역사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근대사의 관심을 보다 폭넓게 하고 심화시키는 데에도 또다른 목적이 있다.

 

연구배경
   한국자유주의의 역사적 연구는 자유주의가 가지고 있는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연구의 범위가 극히 제한되어진 것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한국의 자유주의는 그 근대성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민족주의의 그늘에 가려져서 혹은 사회주의의 그늘에 가려져서 제대로 학계의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는 한국 근대화과정의 역사적 이해를 위하여는 그리 바람직한 것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근대의 진정한 확립이란 내용적으로 볼 때 개인성이 확립될 때에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근대적 외양 즉 근대적 삶의 외관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내용적으로 자유주의가 즉 개인이 인격적으로 그 최고의 가치를 인정받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혹은 그 공간이 지극히 협소하다면 사실상 근대의 국민국가 혹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하는 경제적 민주주의는 이상한 종류의 제도가 될 뿐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내용을 기존의 연구경향과 같이 민족이나 계급과 같은 거대한 집체의 정체성을 찾는 작업에만 매달려서 그동안 그러한 집체를 근대적인 내용으로 근대적인 공간으로 포용하고 있는 자유주의에 대한 이해가 소홀하여진다면 이는 한국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왜곡하게 될 것이며 따라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시도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한국자유주의의 한국적 성격을 근대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고 단지 정치사상으로서가 아닌 사회사상, 문화적 삶의 양식으로서의 자유주의가 일제시기 한국 사회에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핀다.
   연구자료로 문집뿐만 아니라 시각적 자료도 동원하여 새로운 양식으로서의 자유주의적 공간의 형성과정에 주의를 기울여 연구한다.

 

연구내용
   자유주의적 사상과 문화적 양식으로서의 자유주의가 한국 근대화의 과정에서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살핀다. 한국자유주의는 서양의 자유주의 사상이 도입되면서 시작되었고 유교적 전통을 비판하는 내적 움직임과 관련하여 근대 한국의 중심적인 사상과 문화로 성장한다. 그러나 한국자유주의는 식민지라는 특수한 경험 때문에 특수한 형태의 민족주의와 결합되며 바로 이 결합된 복합체로서의 자유-민족주의는 한국 근대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근대적 공간으로서의 한국자유주의
근대초기 자유주의의 수용과 발전 ㅡ유길준과 윤치호를 중심으로ㅡ
안창호 민족주의에서의 자유주의
식민지 시기 조선의 자유주의와 이광수

연구결과

   한국의 자유주의는 전통과 식민지라는 조건 속에서 온전히 그 이념들을 관철시키기 어려웠지만 한국의 근대화에 획기적인 역할을 하고 현대한국의 사상적 전통이 된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