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1998-철학종교-3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인의 종교의례 연구를 위한 이론적 검토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돈구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1998-01-01 ~ 1998-12-03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 외국의 경우 종교의례에 관한 연구는 최근 종교학 및 인류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대단히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종교의례 연구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그 이론적 배경이 박약하여 연구의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 무릇 어느 현상을 연구할 때에는 그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 못지 않게 그 현상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하는 이론적인 지식 또한 중요하다. 물론 아직 한국 종교의례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 충분히 축적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종교학과 인류학, 그리고 민속학과 사회학 등의 연구에 의해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한국 종교의례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는 축적되었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의 종교의례를 연구할 때 지금 이 시점에서 필요한 것은 종교의례 연구를 위해 지금까지 이용되었던 이론들이 어떤 것이 있으며, 그것들의 장단점은 무엇인가를 살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기존의 이론들에 대한 반성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어서 최근에 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의례 이론들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의례 이론들에 대한 이러한 검토를 기반으로 해서 다시 한국 종교의례 연구의 현실을 재조명해볼 때 비로소 한국 종교의례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비판적으로 살피고 한국 종교의례 연구의 미래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서구에서 개발된 의례 이론들을 검토, 정리하고 그 이론들이 한국의 종교의례 연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우리는 한편으로는 한국 종교의례의 특징, 나아가서 한국 종교의 특징적인 측면들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지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배경
   - 철학과 종교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철학과 종교는 결국 인간이란 무엇이고, 이 세상은 어떻게 생겨났으며, 나아가서 인간과 이 세상은 미래에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며, 인간과 이 세상의 본질은 무엇인가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철학 가운데에서 특히 동양철학은 유교, 불교, 도교 등 동양의 전통종교들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동양철학은 다른 그 어느 철학보다 특히 종교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다. 어느 학자는 동양철학의 목표를 '天人合一'이라고 결론적으로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지적에서 동양철학과 종교의 목표가 같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그러나 이와 같이 철학과 종교는 궁극적으로 같은 목적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차이 또한 엄격히 존재한다. 종교학의 입장에서 볼 때 동양철학은 어디까지나 '宗敎思想學'의 영역에 속한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종교는 사상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종교를 총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종교학은 종교사상 이외의 종교의 다른 영역에 대한 관심 또한 지니고 있을 수밖에 없다.
   - 종교가 철학과 다른 점은 종교가 조직과 의례를 지니고 있다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무엇보다도 종교는 행위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철학과 확연히 구분된다. 따라서 종교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교 행위, 儀禮에 대한 연구가 무엇보다 필요하고 시급하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아래의 자료들을 중심으로 한국 종교의 의례 연구를 위한 이론적인 천착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주로 의례에 관한 외국 서적들을 섭렵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의례이론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는 국내 연구도 살피게 될 것이다.

 

연구내용
   - 우리나라에서 종교의례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이론들의 극히 부분적인 적용에 그치고 말았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는 한국 종교의례의 특징을 발견해 낼 수 없었다.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외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제의이론들을 학문영역별, 종교별, 그리고 의례 종류별로 범주화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극히 최근에 제기된 제의이론들이 과거 기존 이론을 어떻게 극복해 내고 있는 것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 우리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서 예를 들어서 의례의 목적 등을 통해서 한국의 종교의례들을 종류별로 구분해 볼 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서 각 종류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떤 이론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인지를 제시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 세부 목차

머리말

종교연구와 의례연구

의례 이론과 연구 경향

한국의례 연구 서설

   1. 한국의례 연구 경향과 과제

   2. 의례연구와 한국문화 비평

맺음말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