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 ||
---|---|---|---|
과제코드 | 2000-현대사회-10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유완빈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0-01-01 ~ 2000-11-30 | 연구형태 | 단독 |
연구목적 및 배경 | 2,000년을 맞이하여 우리의 화두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동시적 발전, IMF 난관과 긴장의 완전한 해결, 정치안정, 남북통일의 기초정립 및 컴퓨터에 의한 인터넷 혁명 등 그 중요성에 있어서 우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일이 있지만 그 중에서 공직자의 부패방지 문제가 가장 중요할 것이다. 1948년 건국을 통한 정부수립후 10여개 정권이 수립될 때마다 각 공화국은 부정부패 방지를 위한 강한 의지를 표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부정부패 방지를 위한 제반조치를 다 취했으나 시간이 흐를수록 부정부패의 감소는커녕 날로 증폭되어 우리나라는 총체적 부패 공화국(Republic of Total Corruption)이라는 불명예스러운 국제적 별명이 붙을 정도로 심각한 경지에까지 이르렀다. 이는 명분상의 치욕에 끝나지 않고 실제적으로 부패의 증폭상태가 이처럼 계속된다면 국가해체의 위기에까지 이를 위험성이 있어서 부패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찾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연구결과 | 1장 서론
2장 관료부패론
3장 관료부패의 기본적 소지
4장 행정책임과 행정윤리
5장 한국관료부패의 대응적 치유를 위한 유형모색
6장 관료부패 방지책의 모색
7장 결론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