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0-현대사회-6
연구과제명
  • 국문 : 한국의 정치리더십 연구 – 유교적 리더십 관점에서
  • 영문 : -
연구책임자 정윤재
공동연구자
  • 안외순 / 이화여자대학교 / BK교수
  • 이상익 / 영산대학교 / 교수
  • 박병련 / 본원 / 교수
  • 양동안 / 본원 / 교수
연구기간 2000-04-17 ~ 2001-05-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 한국의 유교전통을 리더십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이제까지 주로 서구의 이론적 관점에서 분석, 평가되었던 이승만 대통령과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리더십을 유교적 맥락에서 평가하고자 함.
   - 이러한 연구는 한국의 정치리더십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할 뿐 아니라 한국정치에 대한 자아준거적분석과 평가를 진작시키는 데 기여할 것임.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해당인물들과 관련된 저서와 연구물들을 검토하여 각각의 리더십론을 크게 수기론(修己論)과 치인론(治人論)으로 구별하여 정리함.
   2. 동시에 각 연구대상들이 활동했던 시대적 배경과 특징, 그리고 해당인물들의 문제의식을 집중 검토함.
   3. 이승만과 박정희의 리더십적 특징, 유교에 대한 이해 등을 분석하고 이것을 앞에서 검토한 유교적 정치리더십론에 준거하여 재평가를 시도함.
   4. 월별 연구모임을 가지면서 유교적 정치리더십론에 대한 논의를 선행시키고 그 초안을 8월말까지 완성하도록 하여 한국의 대통령 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배려함.

 

연구내용
   - 이상의 연구목적에 따라 추진할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음.
   1. 맹자의 왕도론(王道論)
   2. 이율곡의 성학론(聖學論)
   3. 정약용의 목민관론(牧民官論)
   4.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리더십: 유교적 평가
   5.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리더십: 유교적 평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孟子의 왕도정치론에 나타난 정치리더십론
               ·················· 안외순 (이화여대 BK21)
   1. 서론
   2. 王道政治論에 나타난 정치리더십의 개념과 성격
   3. 養民敎民, 그리고 목적 있는 리더십
   4. 정치지도자
      4-1. 정치지도자의 위상과 자격: 인륜의 절대표준과 유덕자
      4-2. 정치지도자의 임무:
         1) 리더십의 공유
         2) 올바른 정치이념의 확립
         3) 의 구분과 통일
      4-3. 정치지도자의 자질:
         1) 爲民性 2) 自任性 3) 反己性 4) 時中性
   5. 결론

 

栗谷聖學論과 리더십
               ·················· 이상익 (영산대)
   1. 서론
   2. 율곡의 聖學論
      1) 修己論
      2) 爲政論
   3. 율곡의 時王論
      1) 율곡의 宣祖에 대한 評價
      2) 율곡의 宣祖에 대한 諫言
   4. 율곡의 리더십
      1) 율곡에 있어서 君王位相
      2) 율곡에 있어서 리더십의 원천
      3) 유가 리더십二重星과 율곡의 止掦
   5. 결론

 

茶山 丁若鏞修己治人論 연구
               ·················· 박병련 (본원, 교수)
   I. 서론
   II. 儒家 정치적 리더십론의 基本構造
      1. 儒家에서 보는 리더(leader)와 추종자(follower)의 관계
      2. 儒家無爲統治論
   III. 조선조 儒者들의 修己治人에 대한 諸 視角
      1. 無爲的 리더십론
      2. 有爲的 리더십론
         1) ‘수기치인竝行論
         2) ‘수기치인統合論
   IV. 朱子的 관점에 대한 茶山의 비판
      1. 茶山 사상의 역사적 배경과 기본시각
      2. 茶山의 시각전환(1)無爲而治論 비판ㅡ
      3. 茶山의 시각전환(2)雙務 · 互惠的 틀의 복원ㅡ
   V. 결론

 

이승만의 정치적 리더쉽: 유교적 평가
               ·················· 양동안 (본원, 교수)
   I. 머리말
   II. 이승만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유교적 요소
   III. 이승만과 민본정치
   IV. 이승만의 농민 · 노동자 중심 민본주의
   V. 이승만과 인의정치
   VI. 이승만과 유가적 지도자 덕목
   VII. 결론

 

박정희 대통령의 근대화리더십에 대한 유교적 이해
               ·················· 정윤재 (본원, 교수)
   1. 머리말: 문제제기
   2. ‘賢君박정희: 정치비판과 소망
   3. 5. 16 ‘反正’: Revolution革命도 아닌 정변
   4. ‘修己治人의 정치: 그 특징과 한계
   5. ‘恒産優先의 정치: 빈곤타파의 현실주의
   6. ‘傅統文化의 비판적 계승: 물질문화와 정신문화의 균형
   7. 맺음말: 요약과 평가

연구결과

당초의 연구계획에 의거하여 각 연구자들이 협의를 거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의 성과를 거두었음.


- 맹자의 왕도론과 정치리더십: 배려의 리더십
- 율곡의 성학론과 리더십

- 정약용의 수기치인론 연구
- 이승만의 정치적 리더십: 유교적 평가
- 박정희 대통령의 근대화리더십에 대한 유교적 이해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