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孟子의 왕도정치론에 나타난 정치리더십론
·················· 안외순 (이화여대 BK21)
1. 서론
2. 王道政治論에 나타난 정치리더십의 개념과 성격
3. 養民과 敎民, 그리고 ‘목적 있는 리더십’
4. 정치지도자相
4-1. 정치지도자의 위상과 자격: 인륜의 절대표준과 유덕자
4-2. 정치지도자의 임무:
1) 리더십의 공유
2) 올바른 정치이념의 확립
3) 公과 私의 구분과 통일
4-3. 정치지도자의 자질:
1) 爲民性 2) 自任性 3) 反己性 4) 時中性
5. 결론
▣ 栗谷의 聖學論과 리더십
·················· 이상익 (영산대)
1. 서론
2. 율곡의 聖學論
1) 修己論
2) 爲政論
3. 율곡의 時王論
1) 율곡의 宣祖에 대한 評價
2) 율곡의 宣祖에 대한 諫言
4. 율곡의 리더십論
1) 율곡에 있어서 君王의 位相
2) 율곡에 있어서 리더십의 원천
3) 유가 리더십論의 二重星과 율곡의 止掦
5. 결론
▣ 茶山 丁若鏞의 修己治人論 연구
·················· 박병련 (본원, 교수)
I. 서론
II. 儒家 정치적 리더십론의 基本構造
1. 儒家에서 보는 리더(leader)와 추종자(follower)의 관계
2. 儒家의 無爲統治論
III. 조선조 儒者들의 ‘修己治人’에 대한 諸 視角
1. 無爲的 리더십론
2. 有爲的 리더십론
1) ‘수기’와 ‘치인’의 竝行論
2) ‘수기’와 ‘치인’의 統合論
IV. 朱子的 관점에 대한 茶山의 비판
1. 茶山 사상의 역사적 배경과 기본시각
2. 茶山의 시각전환(1)ㅡ無爲而治論 비판ㅡ
3. 茶山의 시각전환(2)ㅡ雙務 · 互惠的 틀의 복원ㅡ
V. 결론
▣ 이승만의 정치적 리더쉽: 유교적 평가
·················· 양동안 (본원, 교수)
I. 머리말
II. 이승만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유교적 요소
III. 이승만과 민본정치
IV. 이승만의 농민 · 노동자 중심 민본주의
V. 이승만과 인의정치
VI. 이승만과 유가적 지도자 덕목
VII. 결론
▣ 박정희 대통령의 근대화리더십에 대한 유교적 이해
·················· 정윤재 (본원, 교수)
1. 머리말: 문제제기
2. ‘賢君’ 박정희: 정치비판과 소망
3. 5. 16 ‘反正’: Revolution도 革命도 아닌 정변
4. ‘修己治人’의 정치: 그 특징과 한계
5. ‘恒産優先’의 정치: 빈곤타파의 현실주의
6. ‘傅統文化’의 비판적 계승: 물질문화와 정신문화의 균형
7. 맺음말: 요약과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