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0-현대사회-5
연구과제명
  • 국문 : 인격확립의 최종과정에 대한 동서양의 이해방식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계학
공동연구자
  • 임병덕 / 교원대학교 / 부교수
  • 김재영 / 강남대학교 / 부교수
  • 서명석 / 공주교육대학교 / 시간강사
연구기간 2000-01-01 ~ 2000-12-07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동양과 서양에서는 공통적으로 인격이 확립된 인간의 모습을 상정한다. 그럴 때 인격완성을 신비적인 초월세계만으로 보았던 기존의 재래적이며 소극적 해석방식을 넘어 인간이 삶의 과정에서 주체적으로 사유하고 행동하는 가운데 점차 도달할 수 있는 실존의 가능태가 최종적인 인격형성의 모습이며, 이것이 인간의 영성회복과 지혜의 생성 조건을 최종적으로 담보할 수 있는 신의 시여방식과 같은 교육적 극처임을 논리적으로 밝혀 놓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인격발달의 최종상태는 자신의 존재를 고품격화 해 놓은 존재방식이기에 이런 상태에 도달한 사람들은 사유방식에서 다스만과는 질적인 차이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인격발달수준과 단계에 따른 인격특질의 특이성을 보다 분명하게 규명해 냄으로써 인간존재의 이해방식에 대한 진일보한 세계를 이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그려낼 수 있다. 따라서 인간발달의 전 과정에서 인격이 어떻게 최종적으로 확립됨과 동시에 인격이 확립된 사람들의 사유문법과 인지구조와 세계관을 집중적으로 탐구하는 일이 절실하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동양과 서양의 전통을 사이에 두고 이 둘의 공모 가능성을 인격형성이라는 테제 속에서 모색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동서문화의 비교연구의 방식으로 볼 수 있다. 비교는 우선 서로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한다. 그 전제 속에서 빚어내는 차이가 동서 공통이 화합 가능성을 인격발달의 최종적 상태라는 테제 속에서 소통의 끈을 맺어보려는 것이다.

 

연구내용
   동서양의 전통에 관류해왔던 인격확립의 모습을 담아내는 구체적 지형도를 추출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연구영역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동양적 전통
      유가적 영역: 성리학적 사유구도 속에서 바라보고 있는 인간관과 인격형성(선진유가 포함)
      도가/불가적 영역: 노장에서 바라보는 인간관과 점진적인 수양의 완성과 불가에서 인간형성을 구획하는 見性의 실체와 새로운 인격의 탄생
   서양적 전통
      희가(고대희랍)적 영역: 고대 희랍인의 인간에 대한 사유방식과 철인의 구체적 양태
      기가(기독교)적 영역: 기독교적 세계관 속에서 파악하는 인간의 회심과정과 인격완성


   그런 다음에 각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인격형성의 궁극적 실체를 선정한다. 이것은 각 영역별로 상징적 존재로 내세우고 있는 인격의 당체를 수면위로 부상시키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유가의 이상적 인간모습ㅡ聖人論, 불가에서 인간에게 수행의 결과로 탄생하는 것을 지칭하는 佛性論, 도가에서 주창하는 인간의 이상적 인격형으로서의 眞人論, 그리고 서양에서는 고대 희랍의 철학적 전통에서 견지하고 있는 哲人論 및 기독교에서 말하는 인간의 새로운 탄생에 부합하는 衆生論이 그것들이다. 여기서 각각의 영역이 어떠한 지평 속에서 인간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인격이 확립된 모습을 설명하며, 그려내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며 동시에 이를 인격발달의 연속성과 계열성이라는 잣대로 해석학적인 소통의 길을 열고, 이를 토대로 인격발달의 초월적 지평과 이에 따른 최종 발달상태의 구조적 지형을 집중적으로 천착한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의 구성체제로 설계할 수 있다.
   연구내용의 구성체계
      서론: 연구의 내용과 목적 그리고 교육적 해석의 가능성
      각론: 각 영역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의 체계화
             1. 유가 / 2. 도가와 불가 / 3. 희가 / 4. 기가
      통론: 연구결과의 종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I. 서장: 인격확립의 초월적 성격
               --------- 이계학(본원/교육학)
   1. 서론
   2. 인격과 인격교육의 개념
   3. 인격발달의 초월적 성격
   4. 인격확립의 초월적 입론

 

II. 선가(仙家) 교학사상의 초월적 지평
               --------- 이계학(본원/교육학)
   1. 서론
   2. 선가교학사상의 연원
   3. 신화분석의 이론과 선가의 교학사상
      1) 신화와 교육의 관계
      2) 단군신화의 교육학적 분석
      3) 단군신화의 총체적 의미
   4. 선가교학사상의 교육학적 해석
      1) 교육의 이념과 목적
      2) 교육의 방법적 원리
      3) 교육내용과 교육의 과정
   5. 인격확립의 초월적 지평
   6. 소결

 

III. 유가 교학사상의 초월적 지평
               --------- 이계학(본원/교육학)
   1. 서론
   2. ()이란 무엇인가 ?
   3. 선진유가의 교학사상
   4. 한당대(漢唐代)의 교학사상
   5. 신유학파의 교학사상
   6. 소결

 

IV. 노장(老莊) 불가의 초월적 지평
               --------- 서명석(공주교대/교육학)
   1. ‘공부한다는 것으로서의 닦음과 배양
   2. 공부의 대상으로서의 욕망
      1) 인간은 욕망하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2) 인간의 욕망은 수축과 팽창의 연동운동을 한다.
      3) 인간의 욕망은 자주적인 관리와 통제를 필요로 한다.
   3. 욕망의 정화로서의 초월
   4. 초월의 전주곡(1)
   5. 초월의 완주곡(2)
   6. 미완과 완성이 마주하는 변주곡: 변화에서 초월로

 

V. 인격형성의 초월적 상징으로서의 종교이해
               --------- 김재영(강남대/종교학)
   1. 들어가는 말
   2. 홀의 고독한 삶과 학문적 여정
   3. 인간의 본질적 욕구와 종교
   4. 인격성숙을 위한 종교교육
      1) 유년기의 종교교육
      2) 청년기의 종교교육
   5. 타종교문화권에서의 종교교육
   6. 인격완성의 원형
   7. 나오는 말

 

VI. 실존주의 전통에서 본 인격확립의 초월적 성격
               --------- 임병덕(교원대/교육학)
   1. 서론
   2. 인격형성의 근거 : 자아와 세계의 중층구조
   3. 인격형성의 위계적 측면과 상황적 측면 : 실존 단계의 해석
   4. 초월적 인격의 확립 방안 : 간접전달
   5. 결론

연구결과

I. 서장: 인격확립의 초월적 성격
II. 선가교육사상의 초월적 지평
III. 유가교학사상의 초월적 지평
IV. 노장과 불가의 초월적 지평
V. 인격형성의 초월적 상징으로서의 종교 이해
VI. 실존주의 전통에서 본 인격확립의 초월적 성격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