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구분 |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 ||
---|---|---|---|
과제코드 | 2000-현대사-2 | ||
연구과제명 |
|
||
연구책임자 | 권희영 | ||
공동연구자 |
|
||
연구기간 | 2000-04-17 ~ 2001-03-31 | 연구형태 | 공동 |
연구목적 및 배경 | 중앙아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은 소수민족이라는 독특한 지위를 가지면서 살고 있다. 이들은 20세기의 정치-경제적 격변 속에서 이주-정착-박해-재생이라는 복잡한 역사적 경험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서 이들 한인들 사이에는 복잡 미묘한 정체성이 생겨나게 되었다. 고유한 민족적 정체성과 문화적 정체성을 부정당하였던 이들이 현재 변화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러한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새롭게 적응하고 있는지 혹은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은 아주 긴요한 과제이다. |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 연구내용 |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서론
제1장.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외상과 그 영향 분석: 우즈베키스탄 한인들을 중심으로 하여
제2장. 중앙아시아 한인들의 정체성 문제
제3장. 우즈베키스탄 고려인의 인종적 · 문화적 정체성의 향후 전망
【참고문헌】 |
||
연구결과 | 중앙아시아의 한인들을 연구함에 있어서 우즈베키스탄의 한인들을 집중적인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 우즈베키스탄의 한인들이 심각한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느끼고 있는 역사적인 경험의 외상은 세대별로 차이가 나는데 가장 많은 탄압을 경험한 세대는 그 억압이 강하여 이를 표면화시키지 못하며 오히려 그 다음 세대들이 그 탄압을 적극적으로 표면화시키고 있다. 그리고 정치경제적 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민을 계획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들 한인들을 잠정적으로 유라시아 한인들로 그 정체성을 상정하여 볼 수가 있는데 이 같은 개념은 한반도의 한민족에 대한 종속적인 정체성이 아니라 독립적 정체성을 위한 개념이다. 한편으로는 민족주의화가 강화되는 우즈베키스탄의 상황에서 한인들의 불안은 점증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위험요소에 대한 적극적인 안전화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참고문헌 |
내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