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해방 전후사 연구에서 최대의 걸림돌인 기초 사료의 발굴 · 정리
∘ 국내 및 해외소장 해방 전후시기 관련자료의 소개와 해제
∘ 해방 직전 독립운동, 미, 소의 대한정책, 일제 말기와 해방 직후 통치정책, 해방 전후의 교육사, 해방 직후 북한사 등 각 분야별 연구사 정리를 통한 쟁점과 과제 추출
∘ 향후 일련의 “한국현대사 사료연구”로 시기별, 영역별 확장 전망
※ 분야별 세부 목적과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 「연구내용」 참고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연구의 목표는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는(informative) 사료 연구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해당주제 또는 각국별 자료의 소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들 자료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힘쓸 것이다. 1차적으로는 그간 각 연구자들이 해당 국가에서 오랫동안 체류하며 쌓은 현지 문서관 조사 · 연구(Archive Research) 경험을 객관화하게 될 것이다. 또 각 연구자들은 관련자료들에 대해 엄밀한 사료비판 방법을 구사하게 될 것이다. 최근 국내외 각 문서관들은 자신의 자료를 디지털화하는 데 노력을 쏟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조건의 변화에 발맞추어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 자료 수집의 방법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자 한다.
최근 자료 상황이 조금씩 호전되면서 연구자들이 외국의 자료를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외국 자료는 해당 국가(생산기관)의 對韓觀이 전면적으로 스며 있기 때문에 주체적 입장에서 재해석하고 비판하는 작업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은 자료 생산기관이나 자료 형식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으면 수행될 수 없다. 그런 면에서 본 연구에서 기획하는 자료 생산기관과 생산자에 대한 연구는 이 시기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함은 물론 해당 분야 연구를 심화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 연구내용
올해에 수행할 연구내용을 연구자별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 정용욱: "해방 전후 미국의 대한정책사 관련 자료의 종류와 성격"
- 방선주: "미국 OSS의 한국독립운동 관련 자료 연구"
- 이완범: "일제 말 민족운동에 관한 자료 연구: 독립운동의 특징과 부문별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정혜경: "일제 말 전시체제 관련자료 연구"
- 정병준: "해방 전후 미주 한인독립운동 관련자료 연구"
- 이길상: "해방전후 교육사 자료 연구"
- 기광서: "러시아 문서보관소 소재 해방전후 한국관련 문서자료 개관"
- 김광운: "해방 전후 북한 정치세력 관련자료 연구"
- 조성훈: "미국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북한 노획문서 연구"
위에서 제시한 연구자별 연구내용에 드러나듯이 본 연구는 해당 분야의 資料源에 대한 전반적 개관과 자료 생산기관의 성격 해명, 각국별 자료의 분류 및 정리방식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 관련자료의 사료적 가치 평가, 해당 주제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자료 소개 등을 주요한 연구내용으로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들이야말로 해당 시기, 해당 주제 연구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기초적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여태까지 미루어져 왔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은 한층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려는 자료들이 포괄하는 세부 주제 영역은 첫째, 해방 직전 독립운동(민족운동사), 둘째, 일제 말기 통치체제 및 지배정책사(교육사 포함), 셋째, 해방 전후 미 · 소의 대한정책, 넷째, 해방 직후 한국인 정치세력의 동향, 넷째, 해방 직후 북한 정치 · 사회사로 나눌 수 있다. 이 영역들은 해방 전후사 이해를 위해서 빼놓을 수 없는 분야들일 뿐만 아니라 자료적 토대, 해석의 풍부함 어느 쪽이든 소홀히 할 수 없는 주제 영역들이다. 본 연구가 올해에는 사료연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그 연구결과는 사료 연구에 한정되지 않은 채, 새로운 연구의 시야와 전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
□ 해방전후 한국교육관련 미국자료 연구
----------- 이길상/한국정신문화연구원
I. 연구의 배경 및 의의
II. 해방전후 교육사 연구와 미국측 자료
III. 점령이전 미국자료와 한국교육
1. Survey of Korea (1943)
2. Joint Army-Navy Intelligence Study of Korea (1945)
3. The Problem of Constituting an Independent Political Regime in Korea (1944)
4. Korean Education and Indoctrination (1945)
IV. 미군정기 미국자료와 한국 교육
1. 군정청 문교부 자료
2. 통사에 수록된 교육자료
3. 한국교육에 관한 연구물
V. 결론
□ 일제 말 국내 민족운동에 관한 자료연구 : 독립운동의 특징과 부문별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 이완범/한국정신문화연구원
I. 서론 : 해방직전의 독립운동을 보는 시각
II. 일제말 국내 민족운동에 관한 자료
III. 통계를 통해 본 1940년대 독립운동의 경향
IV. 국내 독립운동의 부문별 비교: 산발적 저항의 증가
V. 1944-45년 국내청년독립운동의 독특한 지향: 무장화 준비와 초보적 무장대 조직
VI. 결론
□ 해방전후 미국 대한정책사 관련 자료의 종류와 성격
----------- 정용욱/한국정신문화연구원
1. 머리말
2. 해방 이전 대한정책 준비자료
1) ‘전략적 사고’와 정책 초안
2) 정보 문서
3. 해방 직후(1945~1948) 점령정책 관련자료
1) 외교 · 정책 문서
2) 점령통치 관련 문서
4. 대한정책 관련자료의 성격
5. 맺음말
□ 일제 말 전시동원체제관련 자료 연구 – 국내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 정혜경/국가기록연구원 연구위원
1. 머리말
2. 전시동원체제의 형성 및 운영
3. 자료생산주체
4. 관련자료의 실태 및 성격
1) 전시동원체제형성 및 운영에 관한 당국 생산 자료
2) 민간생산자료
3) 국내 소장 조선인명부
4) 구술자료
5. 자료 수집 및 활용 방안
6. 맺음말
□ 미국 OSS의 한국독립운동 관련자료 연구
----------- 방선주/한림대 객원교수
1. 들어가기
2. OSS문서의 구조
3. 한국독립운동 관련문서의 전개
4. 맺는말
□ 해방전후 美洲 韓人 독립운동 관련자료 연구
----------- 정병준/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I. 머리말
II. 미주 한인독립운동 주체의 자료
1. 신문 · 잡지 · 정기간행물
2. 安昌浩 · 國民會 관련자료
3. 李承晩 · 同志會 관련자료
4. 기타 단체 · 개인관련자료
III. 美 · 日정부기관의 한인독립운동 조사 · 감시자료
1. 미국 정부기관의 조사 · 감시자료
2. 일본 정부기관의 조사 · 감시자료
□ 러시아연방 국방성중앙문서보관소(ЦАМО) 소재 해방 후 북한관련 자료 개관
----------- 기광서/조선대학교
1. 머리말
2. 국방성 문서보관소의 해방후 북한관련 자료 현황
3. 각 문서 생산기관의 기능 및 특징
(1) 소련군 총정치국
(2) 연해주군관구
(3) 제25군사령부
4. 주제별 주요자료 소개
(1) 소련의 대북한 정책
(2) 정세동향
(3) 인민위원회
(4) 민주개혁
(5) 정당
5. 맺음말
□ 북한 정치체제 형성 관련 1945~1950년 출판물 해제
----------- 김광운/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1. 머리말
2. 정기간행물
1) 신문
2) 잡지
3) 편람
3. 일반도서
1) 맑스 · 레닌주의에 관한 문헌
2) 김일성의 저작
3) 조선노동당 관계 출판물
4) 사회주의 국가 공산당 및 노동당 관련 간행물
5) 정치생활 관계 출판물
6) 국가 및 법률 관련 출판물
7) 강연자료
8) 교과서 발행
4. 맺음말
□ 미국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북한 경제정책(1945-50) 자료 연구
----------- 조성훈/한남대 강사
1. 머리말
2. 노획문서 경제자료 개관
3. 경제정책의 기본노선 관련 문서
1) 정책 기구
2) 기본방침
4. 부문별 연구 자료
1) 예산과 경제계획
2) 농업부문
3) 산업부문
4) 유통부문
5. 북한경제의 평가 문서
1) 경제 성과
2) 인민의 생활 실상
6. 맺음말
|
연구결과 |
본 연구에서는 해방 직전 국내외 독립운동(민족운동사), 일제 말기 통치체제 및 지배정책사(교육사 포함), 해방 전후 미 · 소의 대한정책, 해방 직후 북한 정치 · 사회 · 경제 · 문화 분야의 관련자료들을 소장처, 생산기관, 자료의 종류와 성격 등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이 연구는 해방 전후사의 연결관계를 자료적 측면에서 논구하였고, 또 자료의 소재와 활용방법 소개, 자료 비판 등을 통해 이 시기를 본격적으로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과제와 전망을 제공해주었다. 이 연구의 목표는 풍부한 정보가 담겨 있는(informative) 사료 연구에 있었다. 이번에 제출된 원고는 한결같이 해당주제 또는 각국별 자료의 소재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들 자료를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