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0-한국학-7
연구과제명
  • 국문 : 『구사론』 제1장 역주연구
  • 영문 : -
연구책임자 이종철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0-04-01 ~ 2000-12-10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와수반두(Vasubandhu 世親 320-400)의 저서 아비다르마꼬샤(Abhidharmakosa-bhasya 阿毘達磨俱舍論)(이하 구사론으로 )說一切有部(Sarvastivadin)의 교학체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놓은 텍스트라는 점에서 불교사상사적으로 일차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대승불교의 사상은 설일체유부의 학설에 대한 先理解가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예로부터 구사 · 유식을 공부하는 학인들 사이에 唯識三年 俱舍八年”(구사론을 8년 공부해야 유식을 3년 안에 마칠 수 있다는 말)이 회자되었지만 이 말은 구사론과 초기 유식논서의 상호불가분의 관계를 적확하게 나타낸 표현이다. 이 때문에 불교학계에서는 구사론을 불교학의 기초학이라 부르고 있고, 한국불교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이 연구는 구사론의 제1장에 대한 제판본의 교정본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한 철학적 분석을 개진함으로써 불교학의 기초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학적 방법에 의거해서 諸版本에 대한 교정본을 확정한 다음, 구사론 전체의 총론에 해당하는 제일장(界品)에 대한 철학적 분석을 진행하여 아비다르마 불교의 다르마(dharma)의 세계를 철학적으로 재구성한다.

 

연구내용
   이 논문의 일차적인 목적은 구사론 제일장(界品)을 대상으로, 쁘라단 校訂本再校訂本과 티벳어역 校訂本, 두 한역의 校訂本, 우리말 번역을 단락별로 입체적으로 대조함으로써 현시점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구사론의 텍스트 및 우리말 번역어를 확정짓는 데 있다. 지금까지 쁘라단 校訂本에 대한 再校訂本으로는 구사론 제일장(界品)에 대한 에지마 야스노리의 연구성과만이 나와있을 뿐이고(cf. Ejima, Yasunori (ed.), Abhidharmakosabhasya of Vasubandhu Chap.1. Dhatunirdesa, Bibliotheca Indologica et Buddhologica 1, Tokyo, 1989), 티벳어역 및 한역에 관해서는 신뢰할 만한 교정본이 나오지 않았다. 필자는 문헌학적인 연구방법론에 입각하여 梵藏漢韓 四譯對校의 구사론 界品根品의 텍스트를 확정지은 뒤, 텍스트에 대한 철학적 사상해석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 작업은 필자가 편집하고 있는 산스크리트어사전내지 불교용례사전편찬작업의 초석으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구사론 제일장(界品)을 대상으로, 쁘라단 校訂本再校訂本과 티벳어역 校訂本, 두 한역의 校訂本, 우리말 번역을 단락별로 입체적으로 대조함으로써 현 시점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구사론의 텍스트 및 우리말 번역어를 확정지을 수 있었다. 애초에 2-3년 계획으로 진행한 작업이므로 아직 완벽한 교정본과 우리말 번역을 완성하지 못한 상태이나 이는 추후에 보완될 것이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