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0-한국학-6
연구과제명
  • 국문 : 조선시대 중앙정치세력의 동향
  • 영문 : -
연구책임자 최진옥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0-04-17 ~ 2000-12-14 연구형태 문헌연구
연구목적 및 배경

   조선시대 중앙정치의 중심세력은 서울거주 사족들이다. 이들 서울거주 사족들이 정치세력화하는 과정과 그들의 동향을 밝히는 것은 한국 사회의 기본 구조를 밝히는 데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중앙집권적 양반관료제 사회였던 조선사회에서 차지하는 서울사족의 비중을 감안하면 이들에 대한 구명은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사족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재지사족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서울사족을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인식하는 데서 출발한다. 서울사족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조선시대 사족의 동향 내지 정치 사회의 제반 현상을 논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사족의 연원과 중앙정치세력화하는 과정 내지 정국의 변화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 사족들의 동향은 물론 정치현실과 정국의 변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서울사족에 대해서는 과거합격자를 대상으로 문과방목, 사마방목을 통해서 인적자료를 파악한다.
   2. 이들에 대한 기본 데이터는 전산처리한다.
   3.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나 통계분석 방법을 기초로 한다.

 

연구내용
   정치담당세력으로서 건국초의 훈구세력, 15세기 이후 영남, 기호사림의 성장으로 인한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 사화와 당쟁, 벌열의 성장 등, 이러한 과정의 근저에는 중앙정계에 진출하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중앙정계로의 진출에는 과거가 주요 통로이다. 실제로 문과급제자의 45%, 소과합격자의 37%가 서울거주자이다. 대략 20,000여명으로 추산되는 이들의 관직진출의 기저에는 과거와 혈연관계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혈연관계와 관직진출과 과거를 통한 관직진출에 초점을 맞추고 각 시기별 정국의 동향과 관련하여 서울사족의 구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밝히는 데 연구의 주안점을 둘 것이다.


   본 연구는 3개년에 걸쳐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1차연도(2000) : 조선전기 중앙정치세력의 동향
      1. 15세기 서울사족의 동향
         1) 혈연적 구조
         2) 관직진출 양상
      2. 16세기 서울사족의 동향
         1) 혈연적 구조
         2) 관직진출 양상

   2차연도(2001) : 17, 18세기 중앙정치세력의 동향
      1. 17세기 서울사족의 동향
         1) 혈연적 구조
         2) 관직진출 양상
      2. 18세기 서울사족의 동향
         1) 혈연적 구조
         2) 관직진출 양상

   3차연도(2002) : 19세기 중앙정치세력의 동향
      1. 19세기 서울사족의 동향
         1) 혈연적 구조
         2) 관직진출 양상
      2. 정치세력의 변화와 서울사족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1. 서언
2. 서울사족의 혈연적 배경
3. 서울사족의 관직진출
4. 결언

연구결과

   세종대부터 중종대까지 사마방목에 거주지가 으로 기재된 1,29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사마방목의 기재 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본인 관직과 문과 급제 여부는 문과방목에서 보완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사족은 조선을 대표하는 대성관에서 많이 배출되었으며 혈연적으로 특정한 가계나 가까운 인척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과 급제가 관직 진출에서도 유리하였으며 고위적 진출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초 서울사족은 上京從仕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과거와 관직을 매개로 중앙정치세력으로 성장한 조선왕조의 핵심 지배층이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