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단독논문게재형과제
과제코드 2000-한국학-5
연구과제명
  • 국문 : 삼국시대 고분과 토돈묘(土墩墓)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인구
공동연구자
  • - / - / -
연구기간 2000-04-17 ~ 2000-12-05 연구형태 단독
연구목적 및 배경

삼국시대 고분문화의 기원을 탐색하기 위한 하나의 작업.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 중국 양자강 유역의 토돈묘 자료 분석
   - 한국 한강 · 영산강 유역의 토축묘 자료 분석
   - 현지조사 연구(한국)

 

연구내용
   한강 영산강 유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삼국시대 고분문화의 기원을 구명하기 위해 구조적으로 유사한 중국 양자강 유역의 토돈묘 문화를 분석검토.
   1. 서언
   2. 토돈묘의 위치 · 구조 · 유물
   3. 토축묘의 위치 · 구조 · 유물
   4. 결언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연구계획에 따라서 연구한 결과 한반도의 한강 영산강 낙동강 유역지방의 토축묘는 중국장강유역지방의 토돈묘문화의 영향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힐 수 있었음. 순수토축묘의 위치 준구형상 매장시설의 구조형식 등은 순수토돈묘와 유사하며, 낙동강유역지방의 가야 석실묘는 석실토돈묘와 묘지선택 분구형 세장형석실 등에서 완전히 일치함을 알 수 있었음.
   동시에 최근에 중국학계에서 제기된 토돈묘와 석실토돈묘는 서로 承襲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어 돌연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또 중원지방고분의 분구가 夏商之際에 토돈묘의 영향으로 이루어졌다는 견해도 검토한 결과 하상지제가 아니라 서주와 춘추초기에 강남지역에서 북우로 미친 영향에 의하여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다.
   토돈묘문화의 한반도유입은 黑潮東南季節風을 타고 稻作農耕文化와 함께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1. 머리말
   2. 토축묘자료
   3. 토돈묘자료
   4. 토축묘와 토돈묘의 특징비교
   5. 토돈묘와 석실토돈묘의 承襲관계
   6. 토돈묘와 분구발생설
   7. 맺음말 ㅡ토돈묘문화의 유입경로와 시기추정ㅡ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