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2000-한국학-1
연구과제명
  • 국문 : 朝鮮後期 進宴文化 硏究 ㅡ仁祖~英祖代의 儀軌를 中心으로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김영운
공동연구자
  • 이성미 / 본원 / 미술사학
  • 김상보 / 대전보건전문대학 / 식품학
  • 박성실 / 단국대학교 / 복식사
  • 사진실 / 서울대학교 / 문학
연구기간 2000-04-17 ~ 2001-06-15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조선후기 민족문화의 정수를 담고 있는 궁중 문화 중, 연향관련 의례문화를 정리 · 기록한 進宴儀軌· 進饌儀軌등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이 시기 궁중문화의 특징과 내용을 파악하고, 본 연구를 통하여 관련 자료의 수집과 정리를 병행하고자 함.
   의궤 자료와 관련한 연구분야를 회화, 건축, 음악, 무용, 의식, 음식, 악장, 연희, 복식 등으로 나누어 2000년도에는 18세기의 의궤자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함.
   차후 궁중문화의 재현 등을 통한 관광자원화의 기초 자료를 위한 왕궁의례의 내용파악에도 관심을 두고자 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 중심으로 진행함.

 

연구내용
   1. 조선후기 진연 · 진찬의궤를 중심으로 궁중 진연문화의 내용 · 절차 ·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자 함.
   2. 금년에는 18세기의 의궤자료를 대상으로 연구작업을 수행함. 특히 조선후기 궁중의 잔치와 관련된 제도의 정착과정에 주목하여 각 분야의 연구를 진행함.
   3. 미술, 건축, 공예, 음악 · 무용, 문학 · 연희, 음식, 복식 등 6개 분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함.
   4. 금년의 연구대상 의궤자료는 다음과 같음.
      진연의궤       (규장각,진연1,14357)       1719(숙종45,기해)*1()
      진연의궤       (규장각,진연2,14358)       1719(숙종45,기해)*1()
      진연의궤       (규장각,진연3,14359)       1744(영조20,갑자)*1책잔()
      진연의궤       (규장각,진연4,14360)       1744(영조20,갑자)*1책잔()
      수작의궤       (규장각,수작,14361)      1765(영조41,을유)*2()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朝鮮 仁祖~英祖年間宮中宴享美術 / 李成美
I. 머리말
II. 17 · 18세기 宮中宴享關聯 儀軌記錄에 보이는 美術關係 記事
   1. 豊呈 行例 時期再考察
   2. 豊呈都監儀軌 (崇禎 庚午, 仁祖 30, 1630)
      1) [庚午]豊呈都監儀軌의 내용 槪要
      2) [庚午]豊呈都監儀軌美術관계 記事
   3. 進宴儀軌1719(康熙 58, 肅宗 45 己亥)
      1) [己亥] 進宴儀軌의 구성과 내용의 槪要
      2) 己亥進宴儀軌에 보이는 미술관계 기록 검토
   4. 進宴儀軌1744(乾隆 9, 英祖 20 甲子)
      1) 甲子 進宴儀軌 구성과 내용의 槪要
      2) 甲子 進宴儀軌에 보이는 美術 工藝 관계 기사
   5. 受爵儀軌 - 영조 41乙酉, 1765 (-受爵14361)
      1) 受爵儀軌의 구성과 내용 槪要
      2) 受爵儀軌에 보이는 美術, 工藝 관계 내용
III. 肅宗 · 英祖 年間進宴과 관련된 繪畵 作品 考察
   1. 進宴圖牒: 肅宗 32丙戌 17068.
   2. 崇政殿進宴圖(肅宗 36庚寅, 1710)
   3. 1744崇政殿甲子進宴圖屛국립중앙박물관
   4. 宗親府賜宴圖1744, 서울대학교박물관
IV. 結語

 

朝鮮後期 國宴樂舞 硏究 仁祖~英祖代의 관련 儀軌를 중심으로ㅡ / 金英云
I. 머리말
II. 관련 의궤의 내용과 악무관련 기록
   1. 豊呈都監儀軌(庚年, 仁祖 8)
   2. 進宴儀軌(己亥, 肅宗 45)
   3. 進宴儀軌(甲子, 英祖 20)
   4. 受爵儀軌(乙酉, 영조 41)
III. 朝鮮後期 國宴 樂舞의 면모
   1. 豊呈都監儀軌光海君~仁祖代國宴 樂舞
   2. 進宴儀軌(己亥, 肅宗 45)肅宗代國宴 樂舞
   3. 進宴儀軌受爵儀軌에 나타난 英祖代 國宴 樂舞
      1) 進宴儀軌(英祖 20, 甲子, 1744)樂舞
      2) 受爵儀軌(英祖 41, 乙酉, 1765)樂舞
IV. 맺는말 : 光海君~英祖代國宴 樂舞

 

朝鮮王朝 進宴儀軌服飾史的 考察 仁祖 庚午 · 肅宗 己亥 · 英祖 甲子 · 乙酉 儀軌中心으로ㅡ / 朴聖實
I. 머리말
II. 仁祖 庚午年 豊呈都監儀軌服飾 構成
III. 肅宗 己亥年 進宴儀軌服飾 構成
IV. 英祖 甲子年 進宴儀軌服飾 構成
V. 英祖 乙酉年 受爵儀軌服飾 構成
VI. 身分別 服飾 考察
   1. · 王世子 · 王世孫 衣襨
   2. 大王大妃 · 大妃 · 王世子嬪 衣襨
   3. 儀賓 · 宗親 · 入參官員 服飾
   4. · 外命婦 服飾
   5. 樂人服飾舞人服飾
VII. 맺음말

 

進宴에 나타난 禮樂의 논리와 공연미학적 특성 ㅡ仁祖~英祖 進宴儀軌를 중심으로ㅡ / 史眞實
1. 진연 연구의 전망
2. 진연의 의례공간과 공연공간
3. 진연의 논리와 의 원리
4. 進爵의 절차와 呈才의 공연
5. 맺음말

 

17 · 18세기 조선왕조 궁중 연향 음식문화 / 김상보
1장 머리말
2장 내연(內宴)
   1. 풍정연(豊呈宴)
   2. 내진연(內進宴)
   3. 의례(儀禮)와 음식
      1) 의례와 음식상과의 관계
      2) 술의 순배(巡盃)
   4. 연회 상차림
      1) 상차림의 구성
      2) 인조8(1630) 풍정연 상차림
      3) 영조20(1744) 내진연(內進宴) 상차림
      4) 상차림의 개요
         (1) 우협상(右挾床) · 좌협상(左挾床) · 연상(宴床) · 면협상(面挾床), 과상(果床) · 찬안상(饌案床)
         (2) 과반(果盤) · 중원반(中圓盤) · 소반[四方盤兒]과 별행과(別行果)
         (3) 염수(鹽水) · 소선(小膳) · 대선(大膳)
         (4) 만두(饅頭) · 미수(味數) · 할육(割肉)
3장 외연(外宴)
   1. 예제(禮制)의 재정비와 외진연(外進宴)
   2. 연회상차림
      1) 상차림의 구성
      2) 숙종45(1719) 외진연 상차림
      3) 영조20(1744) 외진연 상차림
      4) 상차림의 개요
         (1) 과상(果床, 宴床, 大卓), 찬안상(饌案床)
         (2) 소선(小膳) · 대선(大膳) · 염수(鹽水)
         (3) 별행과(別行果) · 미수(味數)
   3. 1765수작의궤(受爵儀軌)와 상차림
4장 상화(床花) · 간반(看盤) · 아가상(阿架床)
   1. 상화(床花)
   2. 간반(看盤)
   3. 아가상(阿架床)
5장 궁중에서의 조리와 직제
   1. 조리를 위한 계급구조
   2. 인조8(1630)과 영조20(1744) 궁중 연향 상차림을 위한 각 부서의 역할
6장 배설
   1. 인조8(1630) 진풍정(進豊呈) 배설도
   2. 영조20(1744) 진연(進宴) 배설도
   3. 배설
   4. 진지(進止)의 진상(進上)
7장 조리면에서 본 찬품(饌品)에 대한 고찰
   1. 찬안상의 찬품
   2. 별행과상의 찬품
   3. 미수상의 찬품
   4. 외선상의 찬품
8장 맺음말

연구결과

   미술사학에서는 의궤의 미술관련 기사를 살펴보았으며, 당대의 궁중 잔치와 관련된 기록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음악학은 당시 국연 악무의 연행 실태와 용악 절차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식품문화의 측면에서는 의궤에 드러난 음식과 상차림 및 조리 등을 고찰하였으며, 복식사에서는 궁중 연향 참석자의 복식 구성과 악공 및 무용인의 의상까지 살펴보았다. 끝으로 공연문화의 측면에서는 궁중 잔치의 의례공간과 공연공간 및 진연의 의례가 지니는 논리적 측면과 악무의 관계 등을 공연문화의 입장에서 해석하였다. 세부 목차는 다음과 같다.

 

   朝鮮 仁祖~英祖年間宮中宴享美術                 · ··········· 李成美
   朝鮮後期 國宴樂舞 硏究                                             ··········· 金英云
   17 · 18세기 조선왕조 궁중 연향 음식문화                ··········· 金尙寶
   朝鮮王朝 進宴儀軌服飾史的 考察                            ··········· 朴聖實
   進宴에 나타난 禮樂의 논리와 공연미학적 특성          ··········· 史眞實

참고문헌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