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기획-6
연구과제명
  • 국문 : 세계화와 성숙한 시민의식 ㅡ국민의식의 선진화를 위하여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영은
공동연구자
  • 송영배 / 서울대학교 / 교수
  • 황경식 / 서울대학교 / 교수
  • 문용린 / 서울대학교 / 교수
  • 박상섭 / 서울대학교 / 교수
  • 남경희 / 이화여자대학교 / 교수
  • 김형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교수
연구기간 1995-11-01 ~ 1995-12-16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한국에는 국민의식의 개혁과 생활의 선진화를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음. 정부에서도 다양한 기구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노력하고 있음.
   「세계화 추진 기획단(국무총리 행정조정실)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초질서 확립과 국민생활 개혁등 정부주도의 국민의식 개혁의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의식개혁생활개혁의 내용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음.
   이제는 그러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윤리학적 · 철학적 및 사회과학적 논거를 제시하고 설명의 수준을 통합하며 또한 이론적 및 현실적 쟁점들을 정리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음.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현실반성적이며 미래지향적 정신문화의 틀과 21세기 한국인의 바람직한 상을 구상하고자 함.

 

연구배경
   「한국정신문화연구원세계화 추진기획단의 요청에 따라 현재 한국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의식 및 생활개혁의 프로그램들을 정리하고, 실천방안들을 위한 이론적 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상기의 연구사업을 추진함.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idea-mapping) : 주제와 관련된 기존 논의들에 대한 평가와 항목조정
   2. (concept-planning) : 항목체계화와 정책개발의 논증합의
   3. 집필 및 보고서 작성

 

연구내용
   ◈ 전통사상의 현대화 : 송영배
   ◈ 한국 사회윤리의 제문제 : 황경식
   ◈ 의식개혁의 방법론적 연구 : 문용린
   ◈ 세계화의 지형과 선진국의 사례 : 박상섭
   ◈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종합 : 남경희
   ◈ 현대세계의 정신문화적 상황 : 김형효
   ◈ 사회체제의 도덕윤리적 문제 : 박영은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 공적 영역의 확립
   1. 법치확립 : 법정신의 고양과 법문화의 정착
   2. 공론의 민주적 확장
   3. 공권력의 민주적 관리

. 한국인의 정체성과 시민의식
   1. 문화전략
   2. 민주생활의 실현과 민주의식의 함양
   3. 도덕성 제고와 사회윤리의 발전

참고문헌

정부자료
   - 세계화의 비전과 전략 (세계화추진위원회)
   - 세계화를 위한 개혁과제 (공보처)
   - 의식개혁의 과제와 전략 (공보처)
   - 생활개혁 10대 과제 (국무총리실. 94-95)
   - 8월중 세계화추진과제 (세계화추진위원회)
   - '95 생활개혁 추진계획 (국무총리실)

 

기타자료
   - 한국인의 생활 및 의식에 관한 제연구
   - 한국문화의 역사적 유산과 현대적 해석에 관한 제연구
   - 경제성장 및 사회발전에 따른 국민생활의 변화양상에 관한 제연구
   - 국제관계 속에서의 한국인의 정체성에 관한 제연구
   - 한국인의 가치관 변동에 관한 제연구
   - 도덕성 및 인간성에 관한 제연구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