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해외에 이주하였거나 장기 체류한 동포들의 인생 경험담 중 감동적인 내용들을 선택하여 국민독본으로 편찬하여 보급한다.
○ 연구배경
1991년 이래 본원에서 3차에 걸쳐 주관한 세계한민족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원고들 중에는 해외에 거주하며 현지인을 위하여 헌신적으로 봉사함으로써 존경을 받는 동포들의 감동적인 이야기가 여러면 있다. 그 내용들은 “자랑스러운 한국인”의 모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삶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케한다.
○ 자료
『제1회 세계 한민족 학술회의 논문집』(본원, 1991) 및 녹음테이프
- 고영일, 연변 이민사와 조선족자치주
- 박영수, 미주 이민과정과 한인의 생활상
- 최창화, 재일 한인의 인권현황과 과제
『제2회 세계 한민족 학술회의 논문집』(본원, 1993) 및 녹음테이프
- 김세일, 구소련 한인들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
- 김관태, 미국에서 소수계와 한인사회의 지향
- 한상기, 아프리카 식량안전을 위한 농학연구개발 22년
『제3회 세계 한민족 학술회의 논문집』(본원, 1995) 및 녹음테이프
- 이준구, 21세기 한국인의 사명
- 박용향, 무엇이 한국인으로서 긍지를 느끼게 하는가
- 지용유, 맨손으로 키운 대양의 꿈
- 최상균, 후진국 농업개발과 자연보호
- 최태진, 호주 청소년 교육과 체육 커리큘럼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기간된 논문집과 녹음테이프에 의거하여 약 10편(200자 원고지 약 1,200매)을 선택, 재구성 재집필한 후, 윤문의 과정을 거쳐 출판한다.
○ 연구내용
˚ 재외 동포들의 감동적인 인생 경험담은 국내인, 특히 청소년들에게 유익할 것이다.
˚ 세계한민족축전 한민족학술회의 발표문을 발표년과 집필자에 따라 선발 2부로 구성
- 제1부 : 해외 동포의 보람된 삶
- 제2부 : 4대 이민국의 이민환경과 그 문제
|
연구결과 |
고국을 떠나 세계 각지로 이주하여 체류한 한국인들 중에는 그 삶의 태도가 현지인들에게 귀감이 되어 한민족의 자긍심을 드높인 사람들이 있다. 그들의 인생 경험담은 국내인들에게도 많은 감명을 줄 수 있고 특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큰 교훈이 될 수 있다.
본원에서 주관한 세계한민족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원고들 중에는 특히 그 내용에 감동적인 면이 많아 일반국민들에게 널리 알릴 가치가 있다고 생각되는 13편의 글을 선택하여 국민독본으로 편찬하여 보급한다.
선택된 13편의 글은 다음과 같다.
1. 도리깨와 맷돌을 아프리카에(전용운:나이제리아, 국제열대농학연구소연구원)
2. 세느강변의 작은 일터에서(박용향: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해양물리연구소장)
3. 아프리카에 일으킨 녹색혁명(한상기:나이제리아, 국제열대농학연구소명예국장)
4. 맨손으로 키운 대양의 꿈(지용유:마샹아일랜드, 대통령 경제고문)
5. 이디오피아의 추억(최상균:유엔식량농업기구 수석고문)
6. 호주에서 배운 체육의 의미(최태진:호주, 한.호 문화체육진흥원 원장)
7. 우리의 어떤 얼굴에 대하여(이병석:Strathclyde대학교수)
8. 금발미녀의 나라와 태권도(이준구:미국, 준리국제지도재단 이사장)
9. 미국 이민과 한인의 생활(박영수:미국, 사더-유바 정신건강과 임상심리학자)
10. 미국의 소수계와 한인사회(김관태:미국, 헌팅턴캐리어대학 교수)
11. 재일 한인의 인권 문제(최창화:일본, 재일기독교총회 목사)
12. 연변 이민의 역사와 조선족 자치주(고영일. 김서광:중국, 연변대학 교수)
13. 구소련 한인들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김세일:러시아, 작가)
위 1-8을 제1부, 9-13을 제2부로 편집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