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기획-3
연구과제명
  • 국문 : 창조적 전통문화의 재발견
  • 영문 : -
연구책임자 박성수
공동연구자
  • 김형효 / 철학종교연구실 / 교수
  • 김지견 / 철학종교연구실 / 교수
  • 김영운 / 예술연구실 / 부교수
  • 박성래 / 한국외국어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8-01 ~ 1996-07-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우리 민족 전통문화의 독창성과 그 고유한 성격을 나라 안팎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 알기 쉽고 간결한 문화소개서를 간행함으로써 민족문화의 세계화와 창조적 계승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연구배경
   한국과 한국문화에 관심을 갖는 외국인과 내국인에게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독자성을 소개한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현지조사

 

연구내용
   한국문화 전 영역에 걸쳐 25개 내외의 영역 중에서 한국문화의 우수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내용을 선정한다.
   도판자료를 활용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노린다.

 

   서론 : 한국 개관 / 한글 / 금속활자 / 고려자기 / 거북선 / 석굴암 / / 불상 / 성균관 / 서원 / 효사상 / 팔만대장경 / 농악 / 판소리 / 탈춤 / / / 태권도 · 씨름 / 국궁 / 동의보감 / 강강수월래 / 추석 / 참성단 / 첨성대 / 산성 / 무궁화 · 태극기 / 선비정신 / 김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한국전통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하기 위한 본연구는 서두의 총설 비교문화적 접근을 비롯하여 각 분야에 관한 심층 분석을 통하여 문화의 특성을 인식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어떻게 하면 세계 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가 하는 창조적 측면을 시사하는 데 노력하였다. 전체 구성은 아래와 같다.

 

   머리말(한국문화의 재발견)
   1. 총설(한국문화론)
   2. 한국의 상징(단군, 무궁화, 한글)
   3. 가족과 사회(제사, 족보, 향약, )
   4. 생활문화(다도, 화장품, 화장구)
   5. 음악과 소리(농악, 거문고)
   6. 놀이와 춤(국궁, 강강술래, 양주별산대놀이, 강릉단오제)
   7. 불교와 불교문화(고려대장경, 직지심경, 에밀레종, 석굴암, 불국사)
   8. 유교와 유교문화(성균관, 과거제도, 도산서원)
   9. 과학과 기술(첨성대, 수원성)
   10. 건축과 기술(경복궁, 비원, 민화)
   11. 역사(3.1 운동)

참고문헌

한국문화에 관한 분야별 전문서 및 사전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