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과보고 요약문

결과보고 요약문: 과제구분, 과제코드, 연구과제명, 연구책임자, 공동연구자, 연구기간, 연구형태,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참고문헌, 로 구성
과제구분 한국학 기초연구/공동연구과제
과제코드 1995-정치경제-13
연구과제명
  • 국문 : 광복 50년, 한국사회의 구조변화와 그 문화적 함의 ㅡ근대화 유산의 평가와 전망ㅡ
  • 영문 : -
연구책임자 강광식
공동연구자
  • 김경동 / 서울대학교 / 교수
  • 정홍익 / 서울대학교 / 교수
  • 이봉철 / 한남대학교 / 부교수
  • 이효성 / 성균관대학교 / 부교수
  • 최협 / 전남대학교 / 교수
연구기간 1995-07-27 ~ 1995-10-31 연구형태 공동
연구목적 및 배경

연구목적
   ˚ 광복이후 근대화 작업의 결과로 야기된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화과정과 양상에 대한 문화적 시각에서의 재평가를 통하여 미결상태에 있는 근대화 작업의 내실화와 새로운 시대진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적 소재와 처방책을 체계적으로 모색한다.
   ˚ 사회변화와 문화변동간의 유기적 연관성에 유의하여 생활양식과 가치체계의 갈등양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특히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도덕성 상실의 위기상황에 대한 구조적 연원을 구명하고 그 바탕 위에서 그 해결책의 기본방향을 모색한다.

 

연구배경
   (1) 광복이후 한국사회의 변화 · 발전과정을 파악하는 연구관심은 여러 가지 다양한 과점에서 접근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장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요인으로서 근대화 작업의 소산에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2) 근대화를 주제로 한 논의와 연구는 1960년대의 조국근대화론이래 이론과 실제의 양면에서 다각적으로 활발하게 전개 · 축적되어 1980년대를 전후해서 이미 학리적인 정지작업이 끝난 구태의연한 감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근대화로 인한 사회변화의 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논의와 연구는 과소할 뿐 아니라 단편적인 수준에서 산발적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대화의 성과와 부작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근대화의 문화적 함의를 체계적으로 구명하는 데 주목하여 근대화로 인한 사회변화에 수반하는 문화변동양상, 특히 생활양식과 가치체계의 갈등양상 및 그 구조적 연관성을 구명함으로써 현재 한국사회가 보여주고 있는 사회적 아노미 현상의 연원과 갈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려고 한다.
   (3) 본 연구의 대안제시를 위해서는 근대화의 한계점을 주목하는 최근의 문명사적 논의로서 포스트 모더니즘, 정보화 · 세계화 등에 관한 다양한 쟁점들을 상호 연계시켜 다루게 될 것이다.

연구방법 및 내용

연구방법
   (1) 문헌연구 : 선행연구 분석 · 평가 · 체계화
   (2) 전문가 집단의 워크샵(주제발표, 논평, 토론, 종합)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구조변화와 문화변동을 가져온 가장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요인을 남북분단, 산업화와 도시화, 민주화, 정보화, 국제화와 개방화, 지방화 등에 있는 것으로 보고 각 요인별 사회변동양상의 문화적 함의를 체계적으로 구명하고 그 연장선상에서 21세기를 향한 대안을 모색한다.

   (1) 남북분단체제 및 냉전구조와 그 문화적 함의
   (2) 산업화 · 도시화와 그 문화적 함의
   (3) 민주화와 그 문화적 함의
   (4) 정보화와 그 문화적 함의
   (5) 국제화 · 개방화와 그 문화적 함의
   (6) 지방화와 그 문화적 함의

연구결과물 세부 목차
연구결과

1 근대화 유산의 평가
   (1) 분단 체제하의 근대화 유산과 그 문화적 함의(강광식)
   (2) 도시화와 공업화의 사회, 문화적 충격(김경동)
   (3) 민주화와 그 문화적 함의(정홍익)
2 탈근대화의 지향과 전망
   (1) 세계화의 지향과 그 사회, 문화적 함의
   (2) 정보화의 지향과 그 사회, 문화적 함의
   (3) 지방화의 지향과 그 사회, 문화적 함의

참고문헌

˚ 한국근대화에 관한 정치학 · 경제학 · 사회학분야의 선행연구(연구목록 생략)
˚ 구범모 외, 2000년대와 한국의 선택(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 권태환 · 한완상 · 홍두승, 전환기의 한국사회: 국민의식 조사(서울대 인구 · 발전문제연구소, 1989 · 1991)
˚ 김경동, 직업관과 사회구조,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5권 제3(1983)
˚ ______ , 사회변동의 이론과 실제(서울대 출판부, 1985)
˚ 김재은,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이화대 출판부, 1987)
˚ 김형효 외, 한국문화의 진단과 21세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 동아일보사, 2000년대를 향한 한국의 선택(1991)
˚ 박동서 · 김광웅, 한국인의 민주정치의식(서울대 출판부)
˚ 서울대 신문연구소, 국민의 정치의식에 관한 연구(1989)
˚ 신명순, 민주문화와 민주주의, 현대 한국정치론(법문사, 1987)
˚ 윤홍근, 한국사회의 변화와 정치변동, 자유민주주의의 한국적 모형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 이남영, 산업화와 정치문화, 한국정치학회보, 19(1985)
˚ 이영호, 한국의 사회경제적 변혁과 정치문화의 변화, 사회과학논집1(1980)
˚ 임희섭, 가치변동과 가치관(정음사, 1986)
˚ 최명 외, 21세기를 향한 국민의식성향 조사연구(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 1990)
˚ 최재석,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개문사, 1976)
˚ 현대사회연구소, 2000년대를 향한 한국인상(1982)

기타

기타: 내용으로 구성
내용
TOP
전체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