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및 배경 |
○ 연구목적
1895년 한성학교라는 공립의 학교가 처음으로 설립된 이래 한국의 공교육은 양과 질에서 엄청난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왔다. 불행히도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간에는 우리의 공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도 없지 않았다. 최근에는 교육혁신이라는 말도 있는 것처럼 한국의 공교육에는 개선되어야 할 점도 없지 않을 것이다. 근대교육 도입 100년, 그리고 광복 50년을 맞이하여 한국교육의 어제와 오늘을 조명하고 미래 한국교육의 좌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는 교육이념, 취학전 교육, 초등교육, 중등교육, 고등교육, 사회교육, 여성교육, 실업교육, 교원교육 등 9개 분야로 나누어 진행한다.
○ 연구배경
지금까지의 한국교육의 과거를 연구하는 것은 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한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개화기를 중심으로 하거나 일제 또는 해방이후의 한국교육의 역사를 기술하거나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보편적인 교육사 연구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제는 지금까지의 한국의 근대 교육사 연구의 성과를 종합하고 한국교육의 실상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한 정보교환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이 과제는 교육윤리연구실에서 연구중인 ‘한국교육사료집성’과도 연관을 가진다. 이 학술연구를 토대로 한국교육사료집성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교환하고 한국 근대교육사의 연구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좋은 연구자료의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방법 및 내용 |
○ 연구방법
문헌연구 중심
○ 연구내용
1895년부터 1994년까지 교육사조와 교육제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함.
(1) 교육사상의 변천과 전망(교육사조)
(2) 학교교육의 성장과정, 문제점, 미래전망(교육제도사)
(3) 교육민주화 운동의 성과와 전망(교육운동사)
(4) 교원교육의 발전과정, 문제점, 미래전망
(5) 사회, 실업교육의 전개과정, 문제점, 미래전망
|
참고문헌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교육사료집성 제1권 – 12권
손인수 : 한국교육운동사, 문음사 1994
유봉호 : 한국교육과정사, 교육연구사 1992
이원순 : 조선서학사연구, 일지사 1989
김영우, 안귀덕 : 한국현대초등교원양상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김영우 : 한국중등교원양성사, 교육과학사 1989
정재철 : 일본 식민지주의 교육에 관한 사회사상사적 연구, 건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1
정순목 : 한국개화교육의 이상과 전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교육연구’ 제1집 1983
|